Abstract
Previous studies on art pricing mostly focused on auction data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non-auction market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on both auction and non-auction markets to see the difference in art pricing mechanisms of both markets. Especially, while prior hedonic models included only quantatative variables to predict art prices, we added a qualitative measure, artistic value of a artwork, along with the original hedonic model to develop a more comprehensive model, and tested if his change may make more precise predictions. As a result, when we did not divide our data into auction and non-auction groups,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hedonic model and the new model including artistic value. However, when we separated non-auction group from auction group, we found that predicted prices in the new model showed significantly closer values to the actual pri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knowledge on art pricing by showing that artistic value may have important but differential impacts on different art dealing channels.
기존의 미술품 가격 추정 모델에서는 자료의 한계상 주로 경매 시장에서의 미술가격을 기준으로 헤도닉 모형을 제시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미술품이 거래되는 시장으로서 경매 시장 뿐만 아니라 비경매 시장도 포함된 미술시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시장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의 헤도닉 모델들이 미술품 가격에 대해 작가 요소, 미술품 요소 등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헤도닉 요인만을 통해 미술품 가격 추정을 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예술적 가치라는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요인을 추가하여 과연 이 요인의 추가가 미술가격 추정 모델의 설명력을 높여 주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매와 비경매 시장으로 구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순수한 헤도닉 가격 추정 모델과 그 모델에 예술적 가치 요인을 추가한 가격 추정 모델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경매와 비경매 시장으로 구분한 경우에는 비경매 시장의 매매에 있어서 예술적 가치 요인이 추가된 가격 추정 모델에서 유의적으로 실제 매매가격과 더 일치하는 가격 추정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미술가격 추정 헤도닉 모델에 예술적 가치라는 주관적인 요인을 포함시켰을 때에 미술품 거래 시장의 형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모델의 설명력 향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미술품 가격 결정 분야의 연구에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