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간농촌 노년층의 소달구지 이용관행과 그 의미

The Customary Employment of So Dalguji(Ox-Cart) among the Old Generation in a Mountain Village and its implication

  • 투고 : 2011.09.30
  • 심사 : 2011.11.12
  • 발행 : 2011.12.30

초록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접근방법은 문화변동론적 시각에서, 소달구지 이용의 근현대적 양상이 어떠하며 그것이 갖는 사회 경제적 적절성과 문화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한 마을의 자연지리적 경제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서 전통적 문화요소가 어떻게 지속 변용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조사지역인 경북 군위군 부계면 가호 2리인 동림마을에서는 소달구지를 일제강점기부터 이용하여 왔으며, 1972년 저수지 축조를 계기로 전통적 소달구지를 개량소달구지로 교체하였다. 1970년대까지는 소달구지로 농산물과 짐을 운반하고, 멀리 부계면이나 군위읍 소재 장터까지 소달구지를 타고 다녔다. 그러다가 1980년대 초반 경운기 도입 이후 소달구지는 마을에서 서서히 사라지면서 단순한 이동수단으로 그 기능이 변했다. 반면 젊은층은 현대식 운송수단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1980년대에는 경운기가, 1990년 후반부터는 트럭이 마을의 주요 운송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그럼에도 70대 이상의 노인들은 계속 소달구지를 이용하였다. 노인들은 노동력이 고령화되어, 현대식 운송수단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경사진 농토를 경작하고, 원거리에 분산된 농토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소를 사육하면서 소달구지를 개량하여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동림마을의 개량형 소달구지 이용 전통은 노령의 농민들이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을 실천하는 것이며 고령화된 농촌사회의 문화적 표상이기도 하다. 즉, 노인들이 전통문화의 적합성과 실용성을 인정하여 소달구지라는 전통적 운송수단을 재창조하게 되었다. 그리고 산간농촌이라는 지리적 제약조건 속에서 남녀 노인들이 소달구지를 즐겨 이용하는 현상은 동림마을 노인들의 문화적 표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동림마을에서 소달구지가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농민들이 고령화되면서, 소달구지가 마을의 자연지리적 경제적 측면과 노인들의 문화적 관성이 잘 부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신이 처한 제반 상황과 조건에 맞게 문화를 전승 변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basic approach of this study was to take the theory of cultural fluctuations to investigate the early modern and modern patterns of the use of ox carts and@ the social and economic appropriatenes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ox carts. The study chose a village that was the only place that used ox carts in Bugye-myeon. The findings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would continue or change according to the natural, geographical, econom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village. Located in Gaho-2-ri, Bugye-myeon, Gunwi-gun, Gyeongbuk Province, Dongrim Village started to use ox carts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replaced the traditional version with an improved one in 1972 when a reservoir was built. Until the 1970s, they used ox carts to carry agricultural products and luggage and to visit the markets in distant Bugye-myeon or Gunwi-eup. In the early 1980s when a cultivator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village, ox carts gradually disappeared in the village and eventually remained as a mere means of transportation. As the younger generations were active in introducing modern means of transportation, a cultivator became the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village in the 1980s and a truck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Despite those changes, however, the elderly in their seventies or older continued to use ox carts. With aged labor and inability to use modern means of transportation, they grew cows and oxen to cultivate the inclined fields and gain easy access to fields distributed in distant locations and continued to ox carts through reform. In Dongrim Village, the heritage of using reformed ox carts is the practice of appropriate technology by the old farmers and a cultural representation of an aged agricultural society. That is, the elderly recognized the appropriateness and practical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renewed a traditional means of transportation called an ox cart. The phenomenon of the old men and women frequently using ox carts in an agricultural village in the mountain with geographical limitations has settled down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elderly in Dongrim Village. The continuing usage of ox carts in Dongrim Village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ox carts well suit the natural, geographical, and economic aspects of the village and the cultural inertia of the elderly with the aging of the farmers. Thus it is once again shown that human beings transmit and alter culture according to their overall situations and condi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