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북 완주군 대아리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와 생육특성

The Value and Growing Characteristics of the Dicentra Spectabilis Community in Daea-ri, Wanju-gun, Jeollabuk-do as a Nature Reserve

  • Lee, Suk 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Buksung College) ;
  • Rho, Jae 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Oh, Hyun 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1.24
  • 심사 : 2011.02.23
  • 발행 : 2011.03.30

초록

본 연구는 전북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산1-2번지의 도유림인 속칭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를 검토하는 한편 금낭화군락지의 적정 생육환경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낭화군락지의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인터넷조사를 통해 '금낭화의 형태적 생태적 특성'과 '국내 천연기념물 초본군락의 지정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는 한편 현지조사를 통해 금낭화군락의 광환경, 토양환경, 식생조건 등을 조사 분석하여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국내 금낭화 자생군락지를 분석한 결과, 금낭화는 전국의 산지에 고루 분포되고 있으며 이 중 완주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서식규모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낭화군락지 분포에 대한 문헌 및 현지조사 결과, 준고냉지에서 생육이 월등하며, 생육왕성기인 5월의 풍부한 강수량은 금낭화 생육에 매우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 가막골 금낭화군락지는 매우 전형적 기상여건을 보이는 서식지라 판단된다. 한편 금낭화 고밀도분포 군락의 환경 분석 결과, 전석지(轉石地) 토양을 기반으로 고도 300~375m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고도는 344.5m이고 자생지의 좌향(坐向)은 북향 또는 북서향도 포함되나 북동향(NE)이 압도적이었으며 평균 경사는 $19.5^{\circ}$로 나타났다. 또한 광조건 분석 결과, 4월부터 8월까지 생육기간인 5개월간 군락 내 광도는 평균 30,810Lux 이었으며, 생육 초기에는 낮았고 후기로 갈수록 광도는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금낭화 자생조건은 4~5월 생육기에는 약 14,000~18,000Lux 정도의 광조건이었으며, 개화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광도 증가와는 관련 없이 결실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환경 분석 결과, 토양산도(pH)는 표토, 5.2~6.1, 심토, 5.2~6.2로 거의 유사한 범위를 보였으며 표토의 평균 토양pH는 5.54, 심토는 5.58로 이 조건은 비교대상 군락지와 거의 유사하고 전형성이 큰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가막골의 토양 안정성은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식생환경 분석 결과, 조사구별 금낭화의 개체수는 13~52개체까지 심한 편차를 보였으나 군락내 발견된 분류군(taxa)은 총 126종류로 순수군락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종다양성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아수목원 금낭화군락지는 금낭화, 미나리냉이, 거북꼬리, 이삭여귀, 물봉선 등이 우점하는 식물사회로 확인되었으며 군락내 식별종(Differential species)은 물봉선, 꼭두서니, 칡, 산딸기와 고추나무, 광대싸리, 개다래로 밝혀짐에 따라 지형 및 토양습도에 따라 전형적 하위군락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가막골 금낭화군락지는 탁월한 관상성을 가진 자생식물의 서식처임을 확인할 수 있고, 본 군락은 전국분포상의 금낭화 자생군락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추정되며 기상 및 지형, 토양조건과 식생환경이 군락지의 지속적인 생육 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서식지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형적 서식조건과 지속가능성이 큰 가막골 금낭화군락은 당연히 천연보호구역적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 of the Dicentra spectabilis community as a nature reserve in provincial forests at San 1-2, Daea-ri, Dongsang-myeon, Wanju-gun, Jellabuk-do, also known as Gamakgol, while defining the appropriateness of its living environment and eventuall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to protect this area. For these reasons, we investigated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features of Dicentra spectabilis' an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designing a herbaceous nature reserve in Korea.' Furthermore, w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solar, soil and vegetation condition here through a field study in order to comprehend its nature reserve value. The result i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tic result for information on the domestic wild Dicentra spectabilis community, it is evenly spread throughout mountainous areas, and there is one particularly outstanding in size in Wanju Gamakgol. Upon the findings from literature and the field study about its dispersion, Gamakgol has been discovered as an ideal district for Dicentra spectabilis since it meets all the conditions this plant requires to grow vigorously, such as a quasi-high altitude and rich precipitation during its period of active growth duration in May. Dicentra spectabilis grows in rocky soil ranging from 300~375m above sea level, 344.5m on average, towards the north, northwest and dominantly in the northeast. The mean inclination degree is $19.5^{\circ}$. Also, upon findings from analyzing solar conditions, the average light intensity during its growth duration, from Apr. to Aug., is 30,810lux on average and it tends to increase, as it gets closer to the end. This plant requires around 14,000~18,000lux while growing, but once bloomed, fruits develop regardless of the degree of brightness. The soil pH has shown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topsoil, at 5.2~6.1, and subsoil, at 5.2~6.2. Its mean pH is 5.54 for topsoil and 5.58 for subsoil. These results are very typical for Dicentra spectabilis to grow in, and other comparative areas also present similar conditions. Given the facts, the character of the soil in Gamakgol has been evaluated to have high stability. Analysis of its vegetation environment shows a wide variation of taxa numbering from 13 to 52 depending on area. The total number of taxa is 126 and they are a homogenous group while showing a variety of species as well. The Dicentra spectabilis community in the Daea-ri Arboretum is an herbaceous community consisting of dominantly Dicentra spectabilis, Cardamine leucantha, Boehmeria tricuspi and Impatiens textori while having many differential species such as Impatiens textori, Pueraria thunbergiana, Rubus crataegifolius vs Staphylea bumalda, Securinega suffruticosa, and Actinidia polygama. It suggests that it is a typical subcolony divided by topographic features and soil humidity.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on a comprehensive level, this area is an excellent habitat for wild Dicentra spectabilis providing beautiful viewing enjoyment. Additionally, it is the largest wild colony of Dicentra spectabilis in Korea whose climate, topography, soil conditions and vegetation environment can secure sustainability as a wild habitat of Dicentra spectabilis. Therefore, We have determined that the Gamakgol community should be re-examined as natural asset owing to its established habitat conditions and sustainabi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