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iber and pigment in Palsapumdo from Hyeonchungsa

현충사관리소 소장 팔사품도(八賜品圖)에 사용된 직물 · 종이 섬유 식별 및 안료 분석

  • Park, Ji-He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
  • Kim, So-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oon-Kwa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 박지희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순관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03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materials analysis is important in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assets since conservators can make appropriate decision of treatment and environment through understanding manufacturing, period and materials. Palsapumdo is the painting of Palsapum which was given by Yi Sun-shin from the emperor Shinjong in The Ming Dynasty. Palsapumdo painted with various pigments on the fabric has remained to adhere a sheet of lining paper.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fiber identification about the fabric and lining paper and the analysis of the pigments. This study identified a fabric and a lining paper and analised pigments for the painting. As a result of fabric analysis, it was confirmed as cotton because ribbon twists and shape of kidney bean in a cross section. After the analysis of lining paper, color changed to yellow by Graff "C" staining tests, and had short fiber and tracheid. Therefore, it is supposed to be a paper which is made of conifer pulp. In addition, the results of SEM-EDS, the pigments are indicated as Orpiment($As_2S_3$), Minium($Pb_3O_4$), Hematite($Fe_2O_3$), Emeraldgreen ($C_2H_3As_3Cu_2O_8$), Ultramarine [$2(Na_2O{\cdot}Al_2O_3{\cdot}2SiO_2){\cdot}Na_2S_2$], talc[$Mg_3Si_4O_{10}(OH)_2$], bariumsulfate($BaSO_4$) and brass.

유물을 처리하기 전에 제작 시기, 기법, 재질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보존처리 방법 결정에 중요하다. 대상유물인 팔사품도는 이순신 장군이 명나라 신종황제로부터 하사받은 팔사품을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바탕재료인 직물에 안료를 이용하여 채색되어 있었으며, 뒷면에는 1장의 종이로 배접이 되어있는 상태였다. 제작연대나 작가 등 유물에 대한 정보가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에 유물의 재질 분석을 통해서 제작 연대를 추정해보고, 처리 및 보관 방향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팔사품도의 바탕재료로 사용된 직물의 분석 결과 리본 꼬임과 강낭콩 모양의 단면이 관찰되어 면으로 확인되었다. 배접지에 사용된 종이를 분석한 결과 C 염색액에 의해 오렌지색으로 염색되었으며, 섬유장이 짧고 섬유 측면에 가도관이 관찰되어 침엽수 펄프로 제조된 종이로 추정된다. 또한 채색안료를 분석한 결과 자황(Orpiment, $As_2S_3$), 연단(Minium, $Pb_3O_4$), 석간주(Hematite, $Fe_2O_3$), 화록청[Emerald green, $C_2H_3As_3Cu_2O_8$], 군청(Ultramarine, [$2(Na_2O{\cdot}Al_2O_3{\cdot}2SiO_2){\cdot}Na_2S_2$]), 활석[Talc, $Mg_3Si_4O_{10}\;(OH)_2$] 및 황산바륨($BaSO_4$), 황동(Brass)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