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ction of Waterline from X-band Satellite SAR Images

X-밴드 위성 SAR 영상을 이용한 수위선 탐지

  • 이경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영상활용기술팀) ;
  • 김윤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영상활용기술팀)
  • Received : 2011.01.08
  • Accepted : 2011.11.01
  • Published : 2011.11.01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about water line detection using SAR image. The method includes pre-processing of the SAR image with the threshold of the histogram to recognize the boundary between the water and the landmass area. Finally we applied the image differentiation to detect the water line in the SAR image. The TerraSAR-X and the Cosmo-SkyMed images, which are the high spatial resolution X-band SAR data, a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our algorithm. The accuracy is verified over the stream line in urban area with the result from the Cosmo-SkyMed.

이 논문은 SAR영상을 이용한 수위선 탐지 방법을 소개한다. SAR 영상의 수위선 탐지를 위해 선행적으로 수행해야 할 처리 과정을 소개한다. SAR 영상의 히스토그램의 임계값을 이용하여 수경 지역을 식별하고, 차연산자 에지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수위선을 추출하였다. 사용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 넓은 해안선 추출을 위해 TerraSAR-X 영상을 이용하였고, 보다 복잡하고 좁은 지역인 도심지 하천의 수위선 추출을 위해 Cosmo-SkyMed 영상을 이용하여 수위선 탐지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D. j., Wooil M. Moon., Sang-Eun Park, Ji-Eun Kim, "Dependence of Waterline Mapping on Radar Frequency Used for SAR Images in Intertidal Areas", IEEE GRSL, 2007, 제4권, 제2호, pp.269-273
  2. Lee, J.s., Jurkevich, I., "Coastline detection and tracing in SAR images"' IEEE TGRS, 제28권, 제4호, 1990, pp.662-668
  3. MASON, D. C., DAVENPORT, I. J., "Accurate and efficient determination of the shoreline in ERS-1 SAR Images", IEEE TGRS, 제34권, 1996, pp.1243-1253
  4. LIU H., K. C. JEJEK, "Automated extraction of coastline from satellite by integrating Canny edge detection and locally adaptive thresholding method", IJRS, 제 25권, 제5호, 2004 ,pp.937-958
  5. Cloude S. R., E. Pottier, "A Review of Target Decomposition Theorems in Radar Polarimetry", IEEE TGRS, 제34권, 제2호, 1996, pp.498-518
  6. Freeman A., S. L. Durden, "A Three-Component Scattering Model for Polarimetric SAR Data", IEEE TGRS, 제36권, 제3호, 1998, pp.963-973
  7. CANNY, J., "A computational approach to edge detection", IEEE TPAMI, 제8권, 1986, pp.679-698.
  8. Lee, J.S., and E. Pottier, PolarimericRadarImaging;FromBasicstoApplica tions, CRCPress, 2009
  9. Yamaguchi, Y., Moriyama, T., Ishido, M., Yamada, H., "Four-component scattering model for polarimetric SAR image decomposition", IEEE TGRS, 제43권, 제8호, 2005, pp.1699-1706
  10. 이상훈, "고해상도 SAR 영상 Speckle 제거 및 분류", 한국원격탐사학회지, 제25권, 제5호, 2009, pp.455-464 https://doi.org/10.7780/kjrs.2009.25.5.455
  11. 박노욱, 이훈열, 지광훈, "SAR 자료에서 추출한 특징들과 토지 피복 항목 사이의 연관성 분석", 한국원격탐사학회지, 제23권, 제4호, 2007, pp.257-272 https://doi.org/10.7780/kjrs.2007.23.4.257
  12. 박노욱, 이훈열, 지광훈, "다중시기SAR 자료를 이용한 토지 피복 구분을 위한 특징 추출과 융합", 한국원격탐사학회지, 제21권, 제2호, 2005, pp.145-162 https://doi.org/10.7780/kjrs.2005.21.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