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dium-Maturing, High Non-Dietary Starch, Specialty Rice Cultivar 'Goami 3'

벼 중생 고 식이섬유 특수미 신품종 '고아미3호'

  • 이상복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점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신영섭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규성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황흥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정오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양창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최용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양세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전용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홍하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홍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조영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정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예종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오명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명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연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정국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영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1.10.10
  • Accepted : 2011.11.18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Goami 3'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Suweon464 and Daeanbyeo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Goami3' has about 130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in central plain area of Korea. It has a good semi-erect plant type and resistance to lodging of about 79 cm in culm length. 'Goami 3' had 15 panicles per hill and 104 spikelets per panicle. 'Goami 3' has very high amylose (29.5%) and high non-dietary starch compared with Hwaseongbyeo. This rice variety has slow senescence and 47% tolerance to viviparous germination during the ripening stage. 'Goami 3' is susceptible to leaf blast, bacterial blight, virus disease and insect pest. The yield performance of this cultivar in milled rice was about 3.92MT/ha by ordinary season culture in local adaptability test from 2005 to 2007. 'Goami 3' is adaptable to central and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고아미3호'는 중생이며 고 식이섬유성 가공용 품종육성을 위하여 2001년 식이섬유 함량이 많은 수원464호를 모본으로하고 재배안정성이 높은 대안벼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SR27132의 교배번호를 부여하고, 2002년 수원 하계포장에서 $F_1$ 25개체를 양성한 후 꽃가루 배양을 통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개년 간 생산력검정 시험에서 SR27132-HB2703-37이 수량성 및 식이섬유함량이 높아 '수원504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년 3개년 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7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 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고아미3호'로 명명하였다. 1. '고아미3호' 출수기는 8월 14일로 '화성벼'보다 3일 늦은 중생종이다. 2. '고아미3호' 벼키는 75 cm로 '화성벼'보다 작으나, 이삭길이 및 수당립수는 '화성벼'와 비슷하고, 등숙률은 다소 떨어지며, 현미천립중은 14.1 g이다. 3. '고아미3호'는 도열병,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멸구류에는 약한 반응을 나타냈다. 4. '고아미3호'는 내냉성 검정에서 '화성벼'보다 다소 약한 특성을 보였으며, 포장도복에 강하였다. 5. '고아미3호'는 난소화성 전분으로 쌀의 투명도가 떨어지며, 도정율은 57.1%로 '화성벼'보다 낮고, 아미로스함량은 29.5%로 고 아밀로스 품종이며, 난소화성 전분인 식이섬유함량은 14%로 '화성벼'보다 4.6배 많다. 6. '고아미3호'의 보통기재배 평균 쌀 수량은 3.92 MT/ha로 '화성벼', '남평벼' 대비 75% 수준이었다. 7. 재배적지는 중부평야, 호 영남평야지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HC, Ahn SN, Hong HC, Kim YK, Hwang HG, Kim TY. 2006. New mutants of specialty rice induced from Ilpumbyeo, a high-quality rice cultivar, by MNU (N-Methyl-N-Nitrosourea) treatment on fertilized egg cells. Kor. J. Breed. Sci. 38(3):154-160.
  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5. 2005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36-169.
  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2006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35-189.
  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2007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36-169.
  5. Song YC, Lee JS, Ha WG, Hwang HG, Lim SJ, Yeo US, Park NB, Kwak DY, Jang JK, Lee JH, Park DS, Jung KH, Jeong EK, Nam MH, Kim YD, Kim MK, Kwon OK, Oh BG. 2010. A new early maturing blackish purple pigmented glutinous rice variety, 'Josaengheugchal'. Kor. J. Breed. Sci. 42(3):262-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