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dging Tolerant, Opaque Rice Cultivar 'Seolgaeng'

벼 내도복 뽀얀멥쌀 신품종 '설갱'

  • 홍하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문헌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최해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황홍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연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홍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예종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신영섭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강경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최용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조영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백만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양창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최임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안상낙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양세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1.07.12
  • Accepted : 2011.11.11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Seolgaeng'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from an 'Ilpumbyeo' mutant line, N-methyl-N-nitrosourea (MNU) treatment on fertilized egg cell, by a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01. This variety has about 134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central plain area of Korea, a good semi-elect plant type and resistant to lodging with strong culm. The number of panicles/hill of 'Seolgaeng' is more than that of 'Hwaseongbyeo'. The milled rice appearance of this cultivar is an opaque, but it has amylose content (19.3%) similar to 'Hwaseongbyeo'. It is superior to hypae formation of Aspergillus orzyae in the making of fermented rice and amount of pigmentation in fermented rice by Monascus anka that of 'Ilpumbyeo'. This variety showed slow leaf senescence and considerable resistance to viviparous germination. It is moderately resistant to leaf blast and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virus disease and insect pests. The yield performance of this rice cultivar is about 5.27 MT/ha in milled rice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from 1999 to 2001). 'Seolgaeng' is adaptable to central and southern plain areas of Korea.

'설갱'은 다양한 전분소재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1년 하계에 양질다수성 품종인 일품벼에 돌연변이 유도물질(MNU)을 처리하여 $M_1$세대 697개체를 얻었다. 1992년 하계온실에서 $M_2$세대 113개체를 선발하여 1992/'93 동계 온실에서 $M_3$집단을 육성하였다. $M_4$세대부터는 포장에서 계통선발법에 의해 주요 병충해 및 미질검정을 병행하여 다양한 전분 신소재 계통을 선발 고정시켰다. 중만생종이며 전분의 형태가 아밀로스 함량은 일반 메벼와 같고 투명도는 찰벼와 같은 뽀얀메 일품(MNU) 28-3-GH1-2-5-3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 461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1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설갱' 으로 명명하였다. 그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설갱'의 출수기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21일로 화성벼보다 9일 늦은 중만생이며, 간장은 83 cm로 화성벼보다 6 cm 짧으며 이삭당 벼알수는 화성벼보다 23개 많으나 등숙률은 73.3%로 화성벼보다 14.3% 낮았다. 2. '설갱'은 잎도열병,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멸구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3. '설갱'은 내냉성에는 중강 정도의 특성이었으며, 벼 키와 3절 간장이 화성벼보다 짧고 도복지수가 낮아서 도복에 강하다. 4. '설갱' 쌀의 외관은 찹쌀과 같은 뽀얀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아밀로스 함량은 19.3%로 일반메벼와 같은 특성을 보였으며, 식미 관능검정에서 밥맛이 화성벼보다 양호하였으나, 도정율은 화성벼보다 떨어졌다. 5. '설갱' 쌀의 발효적성 검정 결과 황국균 발효에서 일품벼보다 균사의 밀도 및 향이 우수하며 홍국균 고체 발효에서도 일품벼보다 색소 및 균사체 상태가 우수하였다. 6. '설갱'의 쌀 수량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5.27 MT/ha으로 대비품종 화성벼 및 동진벼와 비슷하였고, 남부평야지 이모작 재배에서는 5.08 MT/ha로 동진벼보다 3% 감수하였으나, 만식재배에서는 5.75 MT/ha로 동진벼보다 6% 증수하였다. 7. 재배적지는 중부 및 남부 평야지이다.

Keywords

References

  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9. 1999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19-64.
  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9a. 1999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11-235.
  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2000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19-64.
  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a.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11-166.
  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 2001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25-70.
  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a. 2001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pp.11-159.
  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2. 2001 Committee Report to select new variety of job accomplishment in agricultural crop. pp.134-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