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Tongil-type Glutinous Rice Variety 'Hangangchal 1' of Multi-Diseases and Insect Resistance

중생 복합내병성 통일형 찰벼 품종 '한강찰 1호'

  • 송유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조준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정국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하운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세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곽도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박노봉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영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상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오성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임상종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신문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1.05.1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Hangangchal 1' is a new glutinous rice cultivar of second generation Tongil-type with a mid-maturing ecotype that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RDA. in 2006.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angangchal', a Tongil-type glutinous cultivar and 'YR8208-20', a high yield potential in 1986/1987 winter season. 'Hangangchal 1' was selected by pedigree and bulk breeding methods from $F_3$ to $F_6$ populations. A promising line, YR10498-8-1-3, was selected and designated as 'Milyang 167' in 1997. The local adaptability test of 'Milyang 167' was carried out at seven locations during 3 years in 1998, 2005, and 2006. It has tolerance to lodging with good canopy architecture as 87cm of culm length. This cultivar is resistant to bacterial blight $K_1$, $K_2$, and $K_3$ race, rice stripe virus, rice dwarf virus, and leaf blast disease. The milled rice endosperm of 'Hangangchal 1' is glutinous and its whiteness was almost similar compared to 'Shinseonchalbyeo'. The yield of milled rice of 'Hangangchal 1' was average 5.97 MT/ha at ordinary cultivation of 9 kg/10a N fertilizer level in local adaptability test. This cultivar would be adaptable to the mid and southern plain of Korea.

'한강찰 1호'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06년도에 육성한 중생 복합내병충성 통일형 찰벼 품종으로 그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중부평야지 및 영 호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3일로 신선찰벼 보다 3일 늦은 중생종이다 2. '한강찰 1호'의 주당수수는 10개, 수당립수는 156개의 수중형이고, 등숙비율은 85%, 현미 천립중은 21.2 g이다. 3. 성숙기의 엽노화는 중간 정도이며 못자리일수 50일묘 이앙 시에 불시출수가 없으며 위조에는 강한 편이고, 내냉성 검정에서유모적고는 7, 출수지연 일수는 25일, 냉수구 임실율은 54%였고, 수발아율은 5.7%로 낮은 편이었고, 도복에는 강한 편이다. 4. 잎도열병, 흰잎마름병($K_{1-3}$), 줄무늬잎마름병 및 오갈병에 저항성이고 검은줄오갈병에는 중도저항성이며, 벼멸구에는 감수성이고 애멸구에는 저항성이다. 5. '한강찰 1호'의 도정특성 중 도정수율은 '신선찰벼' 보다 약간 낮은 69.3%, 완전미율은 약간 높은 69.4%였다. 현미 장폭비는 1.90으로 쌀알이 약간 긴단원립이며 단백질 함량은 7.3%이고, 백도는 48.5로 신선찰벼와 비슷하였다. 6. 쌀 수량은 중부평야, 호남 충남평야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 10개소에서 쌀 수량은 6.04 MT/ha로 대조품종보다 8% 증수된 수량성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래경, 조수연. 1990. 쌀 품질의 고급화 육종현황과 금후전략. '90 수입 개발대책 45 : 30-40.
  2. 영남농업시험장. 1997. 시험연구보고서.
  3. 농촌진흥청. 1998.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 연구 보고서.
  4. 한국 쌀연구회. 2002. 쌀 상품화 및 고부가가치화 생산현황과 개발전략. 한쌀회 총서 12권.
  5. 한국 쌀연구회. 2005. 쌀 소비촉진 방안. 한쌀회 총서 19권: 40-50.
  6. 농촌진흥청. 2005.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 연구 보고서. 11-167.
  7. 농촌진흥청. 2006a.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 연구 보고서. 9-169.
  8. 농촌진흥청. 2006b.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 결과. 219-229.
  9. 농촌진흥청. 2006c.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 사업과제 수행계획서. 27-68.
  10. 한국 쌀연구회. 2006. 한국 쌀 산업의 최근 10년과 미래. 한쌀회 총서 20권 : 161-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