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rehensive Diagnosis and Improvement Plans on Agricultural Production Cost Survey Statistics

농축산물생산비조사 통계의 종합적 품질 진단 및 개선 방안

  • Received : 2011.05.02
  • Accepted : 2011.12.20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diagnosis process on agricultural production cost survey,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c statistics of agricultural sector in Korea. The diagnosis were performed by employ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ith the official guidelin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Statistics. The various results were produced from the aspects of exactness, relevance, timeliness, accessibility, and comparability, which were based on the qualitative approaches includ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professional users. The results from statistical portfolio analysis implies that the first priority to improve the statistics is given to 'satisfaction level corresponding to user cost' and 'offering sufficient explanation'. The comprehensive results, discussed with the administrative office, ar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major points. First, classification of the detailed items should be improved to avoid users' confusion. However, the re-classification need to be professionally reviewed with the relevant administrative office such 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ducing similar statistics. Second, the KOSIS system is found to be constantly upgraded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이 연구는 농축산물생산비 조사의 통계품질을 진단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진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통계청의 품질 진단 지침에 의거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량적 정성적 진단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식적인 국가 통계에서의 통계품질 개념인 통계의 정확성, 관련성, 시의성, 접근성, 비교성 등의 측면에 대한 정성적 분석 및 조사, 전문 이용자 심층면접 분석(FGI)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1차 개선 영역에 해당되는 항목은 '지출비용에 대한 만족도', '충분한 설명자료 제공' 등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했을 때, 통계 작성기관과의 협의를 거친 주요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의 편의 제고를 위한 개선 사항으로 통계 용어 분류의 개선을 꼽을 수 있다. 통계 이용자 편의를 위해 통계의 세부 항목을 재분류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으나, 이는 조사기관인 통계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므로, 유관 기관과의 적극적인 협의 하에 전문적이면서도 보다 보편적인 용어가 정의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둘째, 이용자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KOSIS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09. 2008 a 농산물생산비조사결과보고서.
  2. 통계청, 2009. 2008 b 축산물생산비조사결과보고서.
  3. 통계청, 2010. 통계품질관리 이렇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