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iew about Li(理) and Ki(氣) of Hayasi Razan(林羅山)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이기관(理氣觀)

  • Received : 2011.02.02
  • Accepted : 2011.03.0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Along with Hujiwara Seika(藤原惺窩), Hayashi Razan(林羅山) is called the founder of the Japanese Confucianism in the Eto(江戶) era. And it is necessary for us to grasp that how Razan understand the theory of I-Ki(理氣論), then we can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In ordinary, people understand that the theory of I-Ki, as a completed view of the world, is integ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ory of the neo-Confucianism. So a certain thinker's ideological attitu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how people understand the theory. And then we can grasp the structure of his view of the world and hum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Razan had understanded the I(理) and Ki(氣). In spite of a scholar of Zhu Xi(朱熹), Razan didn't accept Zhu's view of I-Ki, he seem to lean toward the view of Wang Yangmings'(王陽明) in the his early learning days. But that doesn't mean he is a scholar of doctrine of Wang Yangming. When he meets the logical contradiction under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problem of Sein and Sollen, he just only to explain it with logic of Ki(氣) which is closed by mind. Meanwhile if we suppose I(理) is pure goodness and there is no things outside of I(理), if so Razan doubts about that where is the root of evil and he try to investigate the answer. In his latter years, Razan takes Zhu Xi's doctrine again get out of the mental attitude to the view of I-Ki(理氣). The outcome of precedent study about Razan points a fact that Razan needs a little more digging into the ieda of 'Fact and Sollen' which had been the reason of ideal confusion of him. But his ideal confusion is not the point of issue. Point is that Razan had understanded I-Ki(理氣) with monistic of Shim(心) in his early years. As a result, that bring about the outcome which exclude ontological thinking, and had come to grips with aspects of Sollen of all things in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Zhu Xi. And I think that is the clue to understanding of Razan's learning.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와 함께 에도 시대 일본 유학의 개조로 일컬어지는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사상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그가 이기론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신유학 이론체계의 집약점인 이기론은 하나의 완결된 세계관으로서 이해되고 있고, 따라서 그것을 어떻게 이해했는가에 따라 그 사상가의 사상적 태도가 결정될 뿐만 아니라 그의 세계관 및 인간관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라잔이 이기(理氣)를 어떻게 해석했는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라잔은 초기에는 주자의 이기이원론적 이기관을 받아들이지 않고, 주자학도이었으면서도 왕양명의 이기일원론적 이기관에 더 기울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그가 양명학자였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존재와 당위의 문제를 규명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모순에 봉착하자 그것을 심학적 기론(氣論)으로 해명하고자 했을 따름인 것이다. 한편 이(理)와 성(性)이 순선(純善)이라고 가정하고 이(理)외에 물(物)이 없다고 할 때, 그렇다면 악(惡)의 근원은 과연 어디에 있는가에 대해서도 스스로 자문하고 해명코자 했음을 볼 수 있다. 만년에 라잔은 자신의 이기관의 심학적 경향에서 벗어나 다시 주자의 입장을 취하게 된다. 결론에서 언급하지만, 라잔의 이러한 사상적 동요의 원인은 곧 사실과 당위의 문제를 천착하지 않았던 데에 있었다는 것이 선행연구의 결과이다. 그러나 이기(理氣)를 인식 과정에서 빚어진 그의 사상적 동요가 사안의 핵심이 아니고 논점은 초기에 라잔이 이기(理氣)를 심일원(心一元)으로 파악한 결과 주자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존재론적 사고를 배제하고 사사물물의 당위적인 측면으로만 이해하게 된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고, 이것이 라잔학을 규명하는 단서가 될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