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origin and development, the thought and understanding of actual world of Noron

노론의 연원과 전개,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 Received : 2011.08.12
  • Accepted : 2011.09.0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Since Noron(老論) had organized in the period of Sookjong(肅宗), it constantly had l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Choson until Choson(朝鮮) perished as the grasping political power. Studies and thoughts development of Noron can be devided into four periods. First, the term of politics of faction of the period of Sookjong. Second, a period of Youngjo(英祖) and Joungjo(正祖). Third, a period of politics of power(勢道政治). Fourth, the latter term of 19century. We can look into an origin and development aspect in outline by dividing like this. The general character of Noron can be summarized by the respect of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the theory of a party of a man of virtue(君子黨論) based on the theory of moral civilization of Choson(朝鮮中華論), the succession of Lee i(李珥; 1636-1684)'s neo-confucianism, rejecting all teaching that does not conform to neoconfucianism and protecting right studies, and oppression of Roman Catholic. The noticeable scholars of Noron were Kwon sang Ha(權尙夏; 1641~1721), Kim chang hyup(金昌協; 1651~1708), Lee jea(李縡; 1680~1746) etc. These scholars of Noron following Song Si-yeol had tried to raise "Learning of the Way"(正明道) by respecting Zushi and removing injustice(尊朱子攘夷狄), also believed people should embody moral values in their society and country. and possessed an will guiding to stabilize the country by rejecting uncivilization(尊王攘夷). Above all, they insisted, the King of Choson should rule with 'lighting heavenly reason'(明天理). Also they insisted the King and countrymen should together strive to recover civilization of moral humanity and destroy uncivilzation. But gradually they lost the motive and purpose of moral politics in the seventeenth century. Finally Noron Byeokpa(?派) take over the reins of government. It resulted in the bad effect of politics of autocrat(勢道政治) having their own way to use power of authority after death of Jungjo(正祖). The peculiar character of Noron politics can valued as the extreme aspect of 'according of politics and scholarship'(政學一致).

노론(老論)은 숙종대에 결성된 이후 조선의 정국을 주도한 집권 세력으로서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조선의 정국을 주도했다. 노론의 학문과 사상의 전개는 크게 네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17세기 후기에서 18세기 초에 이르는 숙종대의 붕당 정치 시기, 둘째 18세기 중기에서 후기에 이르는 영정조대의 탕평 시기, 셋째 19세기 이후의 세도 정치 시기, 넷째 19세기 후기에서 구한말에 이르는 시기 등이다. 이렇게 구분하여 노론의 연원과 전개 양상을 개략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노론의 전반적인 특징은 노론의 정신적 지주로 송시열을 존숭하였고, 존주자 양이적을 추구하는 조선중화론에 의한 군자당론을 주장하였으며, 일도설(一途說)과 기질지성(氣質之性)에 관한 학설에 대해 율곡 성리학을 보완적으로 계승하였고, 이단 배척과 정학 수호를 중시하여, 결국 천주교 탄압으로 표출된 양상으로 요약 정리할 수 있다. 노론계의 특징적인 학자로는 학문과 정치 양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암(遂庵) 권상하(權尙夏)(1641~1721),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1651~1708), 도암(陶庵) 이재(李縡)(1680~1746) 등이 주목되는 인물이다. 17세기 이후의 치열한 권력 쟁탈 가운데에 사상적 맥락이나 학문사상이 정국 변화의 핵심적인 요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조광조의 지치주의 이후 조선시대 공론(公論)은 누구나 동의하는 보편적인 논의를 지칭하지만 사림이 분열한 이후에는 당파적 이해를 반영하는 당론(黨論)과 구분하기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런 가운데 송시열을 추숭한 노론 계열의 학자들은 존주자(尊朱子) 양이적(攘夷狄)을 기치로 삼고 왕이나 권세가들의 권력 남용을 제어하고 강력한 정치적 통일을 이루어 도의(道義) 사회를 구현하려고 했다. 그러나 점차 17세기에 수립한 당시의 정치적 동기와 목표는 상실하고 결국 탕평에 반대한 노론 벽파가 정조(正祖) 사후에 세도정권(勢道政權)을 만들어 내면서 정국을 장악하고 권세를 전횡하는 폐해로 귀결되었다. 노론의 현실 대응 논리와 행적은 정학일치(政學一致)라는 한국 도학정치의 특성이 극단화되어 표출된 모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