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finition of an Employee under the Trade Union Act in Japan

일본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 개념 - 최고재판소 판례법리를 중심으로 -

  • 송강직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07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In this article, I intend to analyze the definition of an employee under the Trade Union Act in Japan.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Japan held that not only opera singer but also customer engineer is an employee under the Act. Conclusions are as follows:First, it is noteworthy that the Supreme Court reaffirmed the principle of all circumstances established by CBC case. The case focused on deciding that who is an employee under the Act. Notwithstanding this holding of the Supreme Court, district courts and courts of appeals, in deciding this kind of question, have emphasized especially on the side of a legal right and obligation on a contract between an employer and a potential employee. Therefore an independent contractor has not been generally recognized as an employee under the Act. However, even though he or she was, as an independent contractor in name, offering its work to his or her putative employer, the Supreme Court applied the principle of all circumstances to both cases and held in favor on the workers on April, in 2011. Second, the Supreme Court failed to make a general legal principle for deciding that who is an employee under the Act. According to the above holdings of the Supreme Court, nobody can anticipate wether he or she is an employee or not in a concrete case. Finally, the Supreme Court did not also make its opinion clearly about the relations between an employee of the Section 3 of the Act and an employee whom an employer employs under the Section 7(2) of the Act.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Supreme Court has narrowly and strictly interpreted an employee of the Section 3. That is to say, only where an employee is recognized as an employee of the Section 7(2), the employee will be also an employee of the Section 3. In Japan, however, the majority interprets that an employee by the Section 3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employee whom an employer employs by the Section 7(2). Consequently, according to the majority opinions, unemployed persons, students and citizens will be also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an employee by the Section 3.

본고는 신국립극장운영재단사건 및 INAX메인트넌스(メンテナンス)사건(事件)에서의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결을 소재로 하여 이른바 개인도급계약형식에 따라 노무제공을 한 자의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성을 검토한 것이다.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결에 관한 연구결과는 세 가지의 문제로 집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근로자성을 인정한 결론에 있어서는 평가할만하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판례법리, 즉 독립된 계약자 형태의 노무제공에 대하여 지나치게 법적인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그 판단결과는 노무제공의 실태와는 괴리가 있다는 것이다.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성 판단에서와 같이 노동관계법에서도 완화된 종속성 내지는 실태에 입각한 판단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둘째,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성 판단에 대한 일반법리가 전개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종래의 CBC관현악단사건에서와 같은 종합적인 판단이라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사례판단에 한정되어, 명확성 및 예측가능성이 결여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노동조합법 제3조의 근로자 개념과 동법 제7조 2호의 고용하는 근로자 등과의 단체교섭문제에 있어서 최고재판소는 이들 두 규정의 관계에 대하여 명확한 입장을 밝힌 바가 없다. 학설상 다수의 입장은 동 법 제3조의 근로자와 동 법 제7조 2호의 근로자는 전자가 넓은 의미로 보아야 하고, 후자는 자회사 근로자의 모회사와의 관계 등을 포함하여 일정한 고용관계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신청과 관련하여 이를 인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재판소는 수급인 근로자들의 도급인에 대한 단체교섭권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아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