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resource, differentiation advantage and the moderated role of organicity of organization on performance of export firm in Korea

한국 수출중소기업에서 성과, 자원, 차별화 우위의 관계 및 조직 유기성의 조절 효과 연구

  • Cho, Yeon-Sung (Dept. of International Trade, Dong-A University) ;
  • Lee, Tae-Hee (Dept.of Business Administration, Sogang University)
  • 조연성 (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
  • 이태희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 Received : 2011.11.03
  • Accepted : 2011.12.10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nfluence of resource, differentiation advantage, organicity of organization on export performance. Beside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ed effect of organicity of organization. To achieve the aim, the research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with resources factor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s financial and human resource factors, differentiation advantage, organicity of organization and export performance. Eight hypotheses have been tested on 377 export firm using PLS(Partial Least Squar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both of resource factors influence positively on differentiation advantage. Also, differentiation advantage and organicity of organiz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export performance. About the moderated effect, the organicity of organization has a moderated effect to financial resource on the differentiation advantage and the differentiation advantage on export performance. But organicity of oaganization do not has a moderated impact to differentiation advantage on export performance.

본 연구는 국내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자원, 차별화 우위, 조직 유기성 그리고 수출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조직 유기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합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자원은 재무자원과 인적자원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라 8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 377개 수출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인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무자원과 인적자원은 모두 차별화 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더불어 차별화 우위와 조직 유기성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조직 유기성은 재무자원과 차별화 우위 사이에 그리고 차별화 우위와 수출성과 사이에 유의한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인적자원과 차별화 우위 사이에는 유의한 조절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유기성이 높을 때 외국시장 변화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차별화 우위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분석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아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