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결정의 환경문제와 국제적 성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nternational Inclination of Policy Decision in Environmental Problem

  • 김경우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Kim, Kyung Woo (Dept.of Addiction Rehabilitation Social Welfare, Eulji University)
  • 투고 : 2011.11.09
  • 심사 : 2011.12.10
  • 발행 : 2011.12.30

초록

본 문의 목적은 환경문제에 관한 세계적인 담론과 의사소통이 증대함에 따라 비교정책학자들은 환경문제를 정책영역으로 결합하는 이론들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해 왔다. 두 영역간의 연계에 대하여 기본적 이해와 전제에 대한 구축에 성공해왔다. 비교학자들은 환경문제를 국가를 초월하는 문제로 이해하고 있으나 실제 구축과 연결사례는 소수에 불과하다. 더군다나 이러한 학자들은 심오한 이론적 틀이 없이 단순하고 부분적인 경험적 고찰에 이르고 있다. 그러한 한계는 통합이론과 대규모 비교연구에 있어서는 부족함을 가져왔다. 본 연구는 정책채택에 대한 경험적 조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120개국의 나라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정책채택에 여부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제적인 환경보호와 관련하여 국제환경기구의 존재여부가 정부의 정책채택의 규모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한국의 정책선택과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es are related to decision effectiveness, using a longitudinal field study design. We studied 120 decisions to determine if procedural rationality and political behavior influence decision success, controlling for the goodwill of the environment and decision implementat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decision-making processes are indeed related to decision succes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strategic choice in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hese studies often provided simple fragments of empirical tests without a well developed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attempts to fill this gap by examining policy adoption, specifically by investigating influences on policy decision making across 120 nations using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greater the number of international NGOs in which a national governmental participates, the more the nation is apt to adop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cies to see how real affec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