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in Chinese Economy

중국경제의 고용결정요인분석

  • Yoo, Il-Seon (Dept. of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s, Korea Maritime University)
  • 유일선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 Received : 2011.05.10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developing countries have a lot of dormant resources, attempting the take-off of economic growth. The theory of 'vent for surplus' and Lewis model provide a good cornerstones to analyze the effect of export, FDI and domestic production on employment. This paper attempts to do empirical test to figure out what factor is significant as the determinant of Chinese employment. For this test, the estimation equations are derived from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he results are that the domestic production affects the most positive employment, compared to FDI and export. Unlikely general expectation, export doesn't have an substantial effect on employment in China. It is also found that the absorption of technology through export is lower than that of FDI in terms of the effect of technology on employment. So it is suggested that the employment policy should be shifted toward the increase of domestic production by using FDI rather than by promoting export industry. to reduce the internal imbalance.

개도국이 경제성장을 시도할 때 일반적으로 유휴생산요소들이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수출, FDI와 내수생산이 고용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요한 경제적 함의를 Myint(1958)의 잉여분출설과 Lewis(1954)모형은 제공한다. 이 논문은 이 두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수출과 FDI를 통해서 빠른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있는 중국경제에 적용하여 수출, FDI와 내수생산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실증분석 하였다. 먼저 Cobb-Douglas생산함수를 통해 추정방정식을 유도하여 첫째 수출, FDI와 내수생산이 고용이 미치는 효과, 둘째 수출과 FDI증가가 기술습득을 촉진하고 이것이 노동생산성향상을 통해 고용을 촉진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중국은 내수생산이 고용효과가 가장 컸고 그 다음 FDI였으며 수출은 그다지 큰 고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습득에 의한 고용효과는 수출보다는 FDI가 더 실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중국은 고용을 창출하여 내부불균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출보다는 유입된 FDI를 내수생산에 활용하는 것이 더 유효하리라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