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넓이 학습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에서 나타난 추상화 과정 및 겉넓이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bstraction and Understandings in Children's Learning of Surface Area with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

  • 발행 : 2011.03.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입체도형의 겉넓이 수업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나타나는 학생들의 추상화 과정을 분석하고 학습에 대한 사전 사후의 겉넓이 이해 검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겉넓이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학생들의 추상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수학적 모델링 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수학적 원리를 포함한 모델을 개발하면서 모둠별로 각기 다른 수준의 추상화 과정을 나타냈으며, 겉넓이 이해 검사 결과 사후 검사에서 학생들의 겉넓이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gress of children's abstraction and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approach in the sixth grader's learning of surface area. Each small group showed their own level on abstraction in mathematical modeling progress. The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s in understanding regarding to surface area contex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