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 the social role of public art cartoon.animation : Mainly in Urban space

공공미술로서 만화.애니메이션의 사회적 역할 :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 유성하 (중부대학교, 청주대학교)
  • Received : 2011.08.15
  • Accepted : 2011.09.1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While Korea has actively discussed the fields of comics and animation, with an aim toward public art and publicity for cultural welfare, research on public cultural content for the underprivileged and their regions is in fact lacking.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tried to improve Korea's cultural welfare, but its benefits have failed to be evenly given to the underprivileged. Therefore, we need to take greater interest in the underprivileged and their regions. Korea should work to correct the unbalance among regions in the field of cultural welfar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capital area and other regions, and between new towns and old), as well as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s of isolated areas. For this reason, such a public art project should be conducted from two directions. First, the underprivileged living in poor conditions should be allowed to live in clean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second, public art, comics, and storytelling through animation should be formed with an eye on urban culture. This project aims to focu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itizens' lives" through crea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of the city. It will be presented through the use of public art, which presents the elements of the city with charm and vitality. The two directions stated above are our urgent tasks. Public art, comics, and animation storytelling regarding the history, 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will develop with the affection and pride of the citizens, and public art will help create an environment that allows people to discuss their issues. In addition, it will be cultural environments that will allow all citizens to enjoy beautiful streets and events. This project will be an opportunity to realize cultural democracy by pursuing social values such as publicity, communication, equality, and participation.

우리나라에서 그동안 문화 복지를 위한 공공미술과 공공성에 목적을 둔 만화 애니메이션의 대한 논의가 많이 되어왔지만 소외직역 문화 복지나 이들을 위한 공공문화콘텐츠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게 사실이다. 대한민국 또한 현재에 이르러 문화 복지를 위해 힘써 온 것은 사실이나 소외지역에 문화는 많이 살펴보지 못했다. 이에 따라 소외지역에 대한 문화적 관심이 절박하다. 대한미국 안에서 문화 복지에 대한 지역 간의 불균형(수도권(신도심)과 지역(구도심)의 문화적 차이)도 바로 잡아야 하지만 경제적 지형의 차이(빈부의 격차)에서의 소외지역 생활환경개선도 이루어져야한다. 그래서 공공미술 사업은 두 가지로 이루어져야한다. 첫 번째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밖에 없는 취약계층에게 보다 쾌적하고 문화적인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도시문화 형성차원의 공공미술과 만화 에니메이션을 통한 스토리텔링 이다. 이는 공동체 삶에 주목하고 있는 시점에 도시의 독창적 특성을 창조하며 도시문화의 형성으로 도시경관의 재창조로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 도시의 매력을 만들어 도시를 활성화 시키는 공공미술, 공공 디자인적 요소의 "공공예술"의 형태이며 이 두 가지가 우리사회의 절실한 과제이다. 이러한 공공미술과 만화 애니메이션의 스토리텔링은 그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적 자원을 지역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으로 발전시킬 것이며 "공공예술"에서 도시민의 소통을 열어줄 것이다. 그리고 거리의 미적 환경을 더불어 즐길 수 있는 문화의 장을 펼쳐 줄줄 것이며 공공성, 소통, 형평성, 참여 등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문화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