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staining Dramatic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Characters through a Realization :

관객과 인물의 극적소통을 위한 사실화연구 : 영화 '시'를 중심으로

  • 김동현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영상디자인)
  • Received : 2011.08.11
  • Accepted : 2011.09.1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rough a story, the audience moves between fiction and reality. A story is an emotional experience that appeals to human feeling. The rational function of a story is to convey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ts emotional function is to touch the audience. Moreover, these aspects of a story are linked to its language, text, and imagery. This paper focuses on the emotional function of a story. In a experiential story, the audience's emotional response is a result of maximum dramatic communication between them and the characters. Through psychological and mental communion with the characters, the audience becomes immersed in the story when they emotionally identify with the characters, and dramatic communication is achieved. However, dramatic communication is mostly achieved instantaneously. The elements of a film need to be realized to sustain dramatic communication such that the audience continues to be immersed in the story. The audience can identify with the characters who are placed in real-life situation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s'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External search pertains to the tangible aspects of the character such as its background, life, and conversation. Through the audience's external search, the characters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Internal search deals with aspects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such as their self-concept, desires, and internal conflicts. Through internal search, the audience understands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s. In this process, a film director should ensure that the acting depicts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s. In other words, the director should perfectly depict the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of a human on screen. Appropriate visualization can lead to dramatic communication with the characters and thereby create the audience's emotional response. Considering these techniques, this paper focuses on the scenes of the film "Poetry" in which dramatic communication with the characters creates the audience's emotional response. Accordingly, the audience plays a role in sustaining dramatic communication for the physical screen time of a film.

관객은 이야기를 통해 허상의 세상과 현실의 세상을 넘나들게 된다. 이야기는 인간의 감각에 호소하는 감성적 체험이며 지식, 정보전달의 이성적 기능과 정서에 호소하는 감성적 기능이 있다. 또한 언어, 문자, 영상으로 그 형태가 나타난다. 본고는 이야기의 감성적 기능에 주목하며 체험된 이야기는 관객과 인물의 극적소통이 극대화되어 관객이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관객은 인물과의 심리적, 정신적 교감을 통해 어느 순간 감정몰입의 상태로 들어가고 이를 통해 동일시의 감정을 느낀다. 그때부터 관객과 인물의 극적소통이 시작된다. 하지만 그 순간을 지탱하는 힘은 그리 오래가지 못한다. 이런 관객몰입의 극적소통이 이루어지는 그 순간을 오래도록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사실화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렇게 사실화작업으로 이루어진 세상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의 삶에서 관객은 공감적 재연의 체험적 관념을 흡수하게 되고 이런 사실화된 인물의 드러냄은 외적탐색과 내적탐색으로 가시화된다. 먼저 외적탐색에는 배경정보, 생활정보, 대화정보가 있다. 이들을 통해 인물은 인간과의 닮음의 진통을 극복하고 진정 관객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재등장하게 된다. 또한 내적탐색의 세 가지는 자아, 욕구, 갈등이란 정신적 기제를 통해 선택적 단계선정의 연계과정을 겪으며 인물이 가지고 있는 내면의 울림을 밖으로 진동하게 하여 공명(울림)의 그 소리를 듣게 만든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감독은 인물이 가진 내면적 요인들을 행동으로 시각화시켜야 한다. 즉 행동에 의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외적, 내적 요소들이 서로 간의 충돌과 흡수를 통해 화면 위에 고스란히 그려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관객은 인물과의 극적소통을 통해 정서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영화 '시'에서 관객과 인물이 극적소통을 통한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관객은 영화의 물리적인 상영시간 동안 인물과의 극적소통을 스스로 인내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