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지역 약수터에 대한 시민 여론 조사

Survey of Citizens Public Opinion for Natural Spring Water in Seoul

  • 김광래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음용용수팀) ;
  • 길혜경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음용용수팀) ;
  • 이만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음용용수팀) ;
  • 엄석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음용용수팀) ;
  • 이재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Kim, Kwang-Rae (Drinking & Ground Water Team,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Gil, Hae-Kyung (Drinking & Ground Water Team,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Lee, Man-Ho (Drinking & Ground Water Team,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Eom, Seok-Won (Drinking & Ground Water Team,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Lee, Jai-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 Eng., University of Seoul)
  • 투고 : 2010.10.07
  • 심사 : 2011.03.28
  • 발행 : 2011.04.30

초록

We surveyed the citizens opinion about springs in Seoul for two years from 2008 to 2009. It was found that spring water was mostly used by citizens older than 50, and that 29.5% of citizens used purified tap water as drinking water, 27.2% of them used boiled tap water, 21.1% of them used spring water, and 12.1% of them used bottled water. Citizens who store spring water more than a day are 76.7%. Although many citizens (70.3%) knew that water quality had been tested, 40% of them didn't care about checking the certificate of water quality analysis. Once recognized that the spring water was unfit for drinking exceeded standard of drinking water, 85% of citizens would rather not use the spring wa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광주시, 2007, http://www.gwangju.go.kr/htm/administrative/press_view.jsp?content_id=179731
  2. 국정홍보처, 2005, 수돗물 음용에 대한 국민 의식조사 결과, p. 1-203.
  3. 김경애, 이병옥, 김오목, 허명제, 김경태, 노재일, 최춘석, 고종명, 김용희, 2007, 인천지역 약수터의 오염에 대한 연구, 대한위생학회지, 22(3), 35-50.
  4. 김용관, 김광배, 1986, 부산시내 약수의 화학적 및 세균학적 수질에 관한 연구, 한수지, 19(2), 169-175.
  5. 김용관, 조현서, 1985, 부산지역에 산재하는 몇몇 약수터 약수의 수질, 한수지, 18(6), 538-544.
  6. 김익수, 이상수, 김홍제, 한규문, 권승미, 이지영, 이순희, 신덕영, 박재우, 김주형, 2001, 서울시 일원의 약수터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보, 37, 349-360.
  7. 김인수, 하훈, 서원술, 배주순, 문희, 박철웅, 오은하, 김소영, 김명혜, 1998, 약수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4(1), 87-97.
  8. 김탁곤, 1991, 약수 수질에 관한 분석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1-41.
  9. 김현실, 2002, 부산지역 일부 약수터의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52.
  10. 대전시 2009 http://www.daejeon.go.kr/administration/news/information/information3/1268537_4229.html
  11. 문희, 박근형, 1998, 전남지역 약수의 미네랄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0(2), 253-259.
  12. 이기동, 권병채, 최규만, 소향아, 진찬문, 박창윤, 강인숙, 손명옥, 임석춘, 공손자, 1999, 전라북도내 약수의 수질미생물에 관한 조사연구, 전라북도보건환경연구원보, 9-33.
  13. 이성호, 송희봉, 조찬래, 이영주, 이선영, 전현숙, 정동숙, 장우석, 2002, 화학적-미생물학적 수질에 대한 강우영향의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4(12), 2213-2225.
  14. 차상덕, 장봉기, 천병열, 김두희 : 대구시 인근에 산재한 약수에 대한 위생학적 조사, 1986, 예방의학회지, 19(2), 273-280.
  15. 최한영, 1992, 약수수질 동태에 관한 연구, 서울보건전문대학논문집, 12, 73-86.
  16. 한돈희, 박영의, 박찬정, 전병구, 박갑만, 1987, 춘천근교 약수의 계절별 수질에 관한 보건학적 조사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 13(1), 7-16.

피인용 문헌

  1. Occurrence of Indicator Bacteria and Identification of Total Coliforms Using 16S rRNA Gene in Drinking Spring Water in Seoul vol.39, pp.6, 2013, https://doi.org/10.5668/JEHS.2013.39.6.513
  2. Status of Community Drinking Water in Korea and Implications for Appropriate Management vol.18, pp.6, 2013, https://doi.org/10.7857/JSGE.2013.18.6.056
  3. 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Change of Paradigm for Sustainable Use vol.18, pp.6, 2013, https://doi.org/10.7857/JSGE.2013.18.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