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Ways to improve the Appropriation Standards fo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in Construction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의 개선방안

  • Received : 2011.07.20
  • Accepted : 2011.09.2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in construction since 1988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reduction of injury occurrence rate. But the appropriation standards fo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in Construction(OSHEC) have been pointed out so many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ays to improve the appropriation standards for OSHEC through the reviewing of several issues about the current system and analysis of existing statistical data.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proposed the new model for OSHEC.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References

  1. 유영식, "표준안전관리비 적용의 정착화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1990)
  2. 박일철, "표준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1993)
  3. 정기택, "표준안전관리비 편성 기준 개발", 한국산업안전공단,(1997)
  4. 정기택, "안전시공을 위한 적정공사비 확보방안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1997)
  5. 김정국, "건설공사 표준안전관리비 적정비율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1998)
  6. 손기상,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 및 적정 요율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2005)
  7. 정명진, 이명구, 김형석, "산업안전보건관리비가 건설재해예방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0) : 13-21
  8. 고용노동부,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 기준,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0-10호", (2010)
  9. 이명구, 정명진, 김규동, 박승국,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제도 운영의 효율성 강화 방안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9)
  10. 대한건설협회, "건설업통계연보", 대한건설협회, (2008)
  11. 日本 國土交通省, "公共建築工事積算基準の解說", 建築コスト管理システム硏究所, (2007)
  12. 日本 國土交通省, "土木工事積算基準", 建設物價詷査會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