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영재들의 사고양식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관계 분석

Thinking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투고 : 2011.08.02
  • 심사 : 2011.09.29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의 중학생 과학영재 110명을 대상으로 사고 양식,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탐구능력의 특징과 수준을 조사하고, 각 하위 변인들의 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사고양식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고양식'은 Sternberg가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하여 제안한 개념으로 기능, 형식, 수준, 범위, 경향성 등 다섯 가지 차원에서 13가지의 유형으로 구성된다. 사고 양식 검사는 Sternberg와 Wanger (1991)의 TSI를 국내에서 타당화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방법검사'로 명명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지를, 과학탐구능력은 국내에서 최근 개발된 과학탐구능력 검사지(TSI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과학영재들은 입법적 사고양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자유주의적, 외부지향적, 계급제, 사법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였고 보수주의적 사고양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 사고양식은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는 변인은 입법적, 계급제, 지엽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큰 변인은 입법적 사고양식인 반면 과두제 사고양식은 부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군집분석을 통해 사고양식 유형 및 수준별로 집단을 구분한 뒤,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고양식의 유형별 집단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thinking style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on the basis of Sternberg's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and their scientific inquiry ability by the different types of thinking styles. 110 middle school students who belonging to the university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13 thinking styles were postulated that fall along 5 dimensions which are functions, forms, levels, scopes and leanings of the mental self-governmen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responded to the Thinking Style Inventory (TSI) that standardized Korean version, Self-regulated Ability Inventory and Test of Science Inquiry Skills Inventory (T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refer legislative, liberal, external, hierarchical and judical thinking styles, rather than conservative style. This result also showed that subscales of think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The legislative style, hierarchical style, local style and liberal styl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The legislative style was significant predictor, whereas oligarchic style was negative predictor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The results of k-means clustering analysis and MANOVA showed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attern and level of thinking styl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2. 김미숙, 윤초희, 조석희 (2005). 우리나라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 일반학생과의 비교 및 학년과 성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6(3), 25-58.
  3. 김소연 (2000). Sternberg의 지능 및 사고양식 이론의 타당화.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4. 김수경, 김명숙, 이은경, 하민수, 김동훈, 김중복, 차희영, 김성하, 강성주, 김정률 (2007). 중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163-177.
  5.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연구(I): 기초 연구편. CR96-2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노태희, 장신호 (1999). 초등학교 자연 수업에서 브이도와 조절적 메타인지 학습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29-238.
  7. 문병상 (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8. 박수경 (2004).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 25(8), 708-718.
  9.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영재학생의 사고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개념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307-320.
  10. 서혜애 (2009). 과학영재교육원 생물반 중학생들의 특성: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따른 개인적 성향 및 학습선호도. 영재교육연구, 19(3), 457-476.
  11. 서혜애, 김영민, 정영숙 (2010). 영재교육 대상자 관찰 . 추천 도구 매뉴얼. 부산: 부산광역시교육청.
  12. 양명희 (1999).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양명희 (2002).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3(2), 47-70.
  14. 양태연 (2003).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15. 유진상, 심규철 (2007). 과학탐구대회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분석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09-116.
  16. 윤미선 (1997). 사고양식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7. 윤미선, 김성일 (2004). 학업성취 및 성취동기 예측변인으로서의 사고양식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 18(1), 351-366.
  18. 윤소정, 윤경미, 유순화 (2003).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유형 차이 및 교사 특성별 사고유형. 영재교육연구, 13(3), 19-44.
  19. 윤초희, 정현철 (2006).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전략 및 탐구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0(2), 321-339.
  20. 이진희 (2010). 과학적 사고력과 과학 탐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1. 정미선 (2007).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탐구동기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2. 정현철, 윤초희 (2005). 과학영재의 자율연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전략 탐색 및 교수.학습모형 개발 연구. 수탁연구 CR 2005-3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3. 정현철,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탐색연구. 수탁연구 CR 2004-4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4.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 (1997).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I): 검사 제작편. CR-97-5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5. 한기순, 김희정 (2010).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0(1), 289-316.
  26. 한기순, 배미란 (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 간의 관계 비교. 교육심리연구, 18(1), 49-68.
  27.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 A Process Approach II (SAPA II). Hudson, NH: Delta Education, Inc.
  28. Bernardo, A. B., Zhang, L. F., & Callueng, C. M. (2002). Think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Filipino student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3(2), 149-163. https://doi.org/10.1080/00221320209598674
  29. Bouffard-Bouchard, T., Parent, S., & Larivee, S. (1993). Self-regulation on a concept-formation task among average and gifted student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6, 115-134. https://doi.org/10.1006/jecp.1993.1028
  30. Dai, D. Y., & Feldhusen, J. F., (1999). A validation study of the thinking styles inventory: implication for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21(4), 302-307. https://doi.org/10.1080/02783199909553981
  31. Grigorenko, E. L., & Sternberg, R. J. (1995). Thinking styles. In H. D. Saklofske, & M. Zeidner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pp. 205-229). New York, NY: Plenum Press.
  32. Grigorenko, E. L., & Sternberg, R. J. (1997). Styles of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Exceptional Children, 63, 295-312. https://doi.org/10.1177/001440299706300301
  33. Karnes, F. A., & Bean, S. M. (Eds.). (2001).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Waco, TX: Prufrock Press.
  34. Pintrich, P. R., Smith, D. A. F., Garcia, T., & McKeachie, W. J. (1991).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 801-813.
  35. Schunk, D. H., & Zimmerman, B. J. (1994).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Hillsdale, NJ: Erlbaum.
  36. Sternberg, R. J., & Wanger, R. K. (1991). MSG Thinking Styles Inventory (Unpublished test, Yale University).
  37. Sternberg, R. J. (1988). Mental self-government: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s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1, 197-224. https://doi.org/10.1159/000275810
  38. Sternberg, R. J. (1990). Thinking styles: Keys to understanding student performance. Phi Delta Kappan, 71, 366-371.
  39. Sternberg, R. J. (1994). Allowing for thinking styles. Educational Leadership, 52(3), 36-40.
  40. Sternberg, R. J. (1997). Thinking style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Weinstein, C. E., & Mayer, R. E. (1986).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In M. C.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42. Zhang, L. F. (2001). Do thinking styles contribute to academic achievement beyond self-rated abilities? The Journal of Psychology, 135(6), 621-637. https://doi.org/10.1080/00223980109603724
  43. Zhang, L. F. (2002). Thinking styles: Their relationships with modes of thinking and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Psychology, 22(3), 331-348. https://doi.org/10.1080/01443410220138557
  44. Zhang, L. F., & Sternberg, R. J. (1998). Thinking styles, abil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3(1), 41-62.
  45.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614-628.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4614
  46.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84-290. https://doi.org/10.1037/0022-0663.80.3.284
  47.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1-5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51

피인용 문헌

  1. Comparison of Thinking Styles between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Invention vol.33, pp.3,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3.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