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Groping of the Possibility about Convergent Gifted Education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 Received : 2011.07.29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just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onvertgent gifted education through science and arts. Because the nature of art make up the base of each discipline and the creative talents in the heart of gifted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rts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three aspects have been explored. First, the relevance between the ontological nature of arts and gifted education discussed in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oint of view was explored. Second, the practical possibility was confirmed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bout the science and arts for gifted education. Finally, by looking at today's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nd future talent, it was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talent must be needed in the future. This paper will be a springboard for follow-up study to prove the feasibility of convergent gifted education through identifying factors in creative thinking proces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arts. And views of convergent gifted education with artistic will be expanded further and newly recognized. In addition t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rts Gifted Education Institute in University and Science and Arts Gifted School.

본고는 예술의 본질이 각 학문의 기저를 이루고 있으며 영재교육의 핵심인 창의인재의 육성이 예술교육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고 보고, 과학과 예술을 통한 융합형 영재교육의 당위성 및 가능성을 모색해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의 탐색이 이루어졌는데, 첫째는 철학적 미학적 관점에서 논의되는 예술의 존재론적 본질과 영재교육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둘째는 과학과 예술영재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실질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늘날의 사회문화현상과 지향인(志向人)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미래사회에 융합형 인재의 육성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과학 예술영재의 공통된 창의적 사고과정에 대한 요인 규명을 통해 융합형 영재교육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발판이 될 것이며, 예술과의 융합형 영재교육에 대한 관점들을 좀 더 확장시키거나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더불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부설 예술영재교육원 및 과학예술 영재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안겨줄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영, 이규선, 류재만, 전성수, 최윤재, 권준범 (2005). 미술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2. 김정희 (2005). 미술영재 이야기. 서울: 학지사.
  3. 김주완 (1993). 정신과 예술. 경상대학교 논문집, 11(1), 127-153.
  4. 김진희 (1994). 영재판별 평정척도의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5. 김혜선 (2004).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 미술교육논총, 18(3), 81-102.
  6. 박명옥 (2010).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 구안. 영재교육연구, 20(1), 1-30.
  7. 박준영 (2007). 듀이의 생활예술론과 교육. 교육사상연구, 21(2), 215-230.
  8.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2007).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9.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성은현 (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계발. 영재와 영재교육, 9(3), 117-138.
  10. 유경훈 (2009).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과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 영재교육연구, 19(3), 603-646.
  11. 이건호, 조선희, 이민주, 최유용, 김희백 (2010).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뇌영상 연구. 영재교육연구, 20(2), 503-526.
  12. 이보아 (2010). 융합형 영재의 발굴. 한국과학창의재단 제1회 영재교육 열린포럼 발표자료, 47-59.
  13. 이정철, 강순민, 김동렬, 허홍욱 (2010). CAQDAS에 의한 부모의 관찰 기록 및 질적 선발 자료에 나타난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행동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영재교육연구, 20(2), 427-459.
  14. 정재승, 진중권 (2011). 크로스.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15. 진중권 (2008).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서울: 휴머니스트.
  16. 한명희 (1985). 듀이의 미학이론과 교육이론. 서울: 삼일당.
  17. 한수연 (2009). 기초사고력과 소통능력증진을 위한 예술-과학 연계형 교육프로그램의 논리와 구조(기초연구 09-01).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8. 홍성욱 (2005). 과학과 예술: 그 수렴과 접점을 위한 시론.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연구, 5(1), 1-30.
  19. 황인석 (2010). 예술활동으로서의 사회과의 지역화.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45-54.
  20. Bachelard, G. (2004). 물과 꿈: 물질적 상상력에 관한 시론[이가림, 역]. 서울: 문예출판사.(원본출간년도: 1942).
  21. Collingwood, R. G. (1996). 상상과 표현[김혜련, 역]. 서울: 고려원. (원본출간년도:1937).
  22. Dewey, J. (2003).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이재언, 역]. 서울: 책세상. (원본출간년도:1934).
  23. Antliff, R. M. (1988). Bergson and Cubism: A Reassessment. Art Journal. 47, 341-349. https://doi.org/10.1080/00043249.1988.10792430
  24. Edgerton, S. Y. (1984). Galileo, Florentine 'Disegno' and the 'Strange Spottednesse' of the moon. Art Journal, 44, 225-232. https://doi.org/10.2307/776822
  25. Garte, E. J. (1987). Kandinsky's ideas on changes in modern physics and their implications for his development. Gazette des Beaux Arts, 110, 137-144.
  26. Chandrasekhar, S. (1979). Beauty and the quest for beauty in science. physics today, July, 25-30.
  27. Collingwood, R. G. (1933). An essays on philosophical Method. Oxford: Clarendon Press.
  28. Collingwood, R. G. (1938). The principles of art. Oxford: Clarendon Press.
  29. Collingwood, R. G. (1964). The place of art in education, Essays in the philosophy of art, in Alan Donagan (Ed.),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30. Henderson, L. D. (1983). The fourth dimension and non-euclidean geometry in modern ar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Henderson, L. D. (1988). X rays and the quest for invisible reality in the art of Kupka, Duchamp, and the Cubists. Art Journal, 47, 323-340. https://doi.org/10.1080/00043249.1988.10792429
  32. Henry, S. L. (1989). Paul Klee's pictorial mechanics form physics to the picture plane. Pantheon, 47, 147-165.
  33. Russell, J. A.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1161-1178. https://doi.org/10.1037/h0077714
  34. Schweizer, P. D. (1982). John constable, rainbow science, and english color theory. The Art Bulletin, 64, 424-445. https://doi.org/10.1080/00043079.1982.10787997
  35. Topper, D. (1990). Natural science and visual art: Reflections on the interface. In Elizabeth, G. (Ed.). Beyond History of Science: Essays in Honor of Robert E. Schofield, 296-310.
  36. Toulmin, S. (1953). The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Hutchin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