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Mid/Long-Term ESP Scheme Using Probabilistic Weather Forecasting

확률기상예보를 이용한 중장기 ESP기법 개선

  • 김주철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 김정곤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 이상진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Received : 2011.07.19
  • Accepted : 2011.10.1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In hydrology, it is appropriate to use probabilistic method for forecasting mid/long term streamflow due to the uncertainty of input data. Through this study, it is expanded mid/long term forecasting system more effectively adding priory process function based on PDF-ratio method to the RRFS-ESP system for Guem River Basin. For implementing this purpose, weight is estimated using probabilistic weather forecasting information from KMA. Based on these results, ESP probability is updated per scenario. Through the estimated result per method, the average forecast score using ESP method is higher than that of naive forecasting and it confirmed that ESP method results in appropriate score for RRFS-ESP system. It is also shown that the score of ESP method applying revised inflow scenario using probabilistic weather forecasting is higher than that of ESP method. As a results, it will be improved the accuracy of forecasting using probabilistic weather forecasting.

수문학 분야에서 중장기 유출량 예측은 입력변수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하여 확률론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구성된 바 있는 RRFS-ESP 시스템에 PDF-ratio 방법을 기반으로한 사전처리기능을 장착하여 보다 효율적인 중장기 예측시스템으로의 확장을 시도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확률기상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별 예측확률을 갱신하였다. 예측결과에 대하여 각 기법별 예측점수를 산정하여 본 결과 우선 ESP 기법에 의한 예측점수의 평균이 초보예측 점수를 상회하여 본 연구에서 구성한 RRFS-ESP 시스템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확률기상전망을 이용하여 갱신한 유입량 시나리오의 예측점수가 ESP 기법에 의한 예측점수를 상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ESP 기법에 의한 예측결과를 확률기상전망을 이용하여 갱신할 경우 예측 정확도를 보다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호, 김영오, 홍일표(2008), "앙상블 유량예측 시스템의 사전 및 사후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64-268.
  2. 국토해양부(2008). 앙상블모형을 이용한 확률적 유량예측 보고서.
  3. 김영오, 정대일, 김형섭, 이길성(2001), "앙상블 예측을 통한 물공급전망 개선방안", 한국수자원학회 2001년도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04-308.
  4. 김주철, 이상진, 신현호, 황만하(2009), "유황곡선의 거동특성을 이용한 유역관리모형의 평가." 한국물환경학회논문집, 한국문환경학회, 제25권, 제4호, pp. 573-579.
  5. 이재경, 김영오, 정대일(2006), "중장기 유량예측 향상을 위한 국내 기후정보의 이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 755-766. https://doi.org/10.3741/JKWRA.2006.39.9.755
  6. 정대일, 김영오(2002), "앙상블 예측을 이용한 충주댐의 월 유입량 예측."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3-B호, pp. 321-331.
  7. 정대일, 김영오, 고익환(2003), "앙상블 유량예측의 정확 도 향상을 위한 강우-유출모형에 대한 연구-II. 강우- 유출모형의 결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6-B호, pp. 531-540.
  8. 정대일, 이재경, 김영오(2005), "최적선형보정을 이용한 앙상블 유량예측 시스템의 개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6호, pp. 471-483. https://doi.org/10.3741/JKWRA.2005.38.6.471
  9. 한국수자원공사(2004), 실시간 물 관리 운영 시스템 구축기술 개발.
  10. CroleyⅡ, T.E. (1996), "Using NOAAs new climate outlooks in operational hydrolog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 No. 3, pp. 93-102.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1996)1:3(93)
  11. Fread, P.L. (1998), "A perspective on hydrologic prediction trends. Symposium on Hydrology." American Meteorologic Society, Phoenix, Arizona, pp. J1-J6.
  12. USACE (1991), SSARR User manual. North Pacific Div., Portland.

Cited by

  1.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forecasting system with ensemble stream prediction method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 vol.57, pp.2, 2016, https://doi.org/10.1080/19443994.2014.996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