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Symbol of Comics frames of 'The Sequel to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속삼강행실도의 만화칸 기호 연구

  • 박경철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 Received : 2011.07.06
  • Accepted : 2011.10.13
  • Published : 2011.10.28

Abstract

The world history of modern comics is not too long. So is the domestic history of modern comics. Besides,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domestic history of comics has developed with introduction of foreign materials. Even though a few argue that the domestic history of modern comics had a sheer background with our tradition, this argument is considered as a kind of minority. Obviously, it is not easy to argue something with valid grounds in the field of comics history. It is needed to provide valid grounds of comics history from our history. Several symbols of comics were found in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and 'The Sequel to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Joseon. Particularly, comics frames were used to explain the contents in two books. This supports the fact that Korean comics history has its own base in the tradition. This study is on the analysis of 'comics frames' among symbols of comics in 'The Sequel to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It is said that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helps get a real idea of comics history of Joseon by studying the symbolic meaning of comics frames used in this period. On top of that,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focuses on the symbolic meaning of comics frames in Joseon is expected to be used as a kind of comics history for the people who have a passion for comics.

우리가 알고 있는 근현대적인 세계 만화역사와 국내 만화역사는 얼마 되지 않는다. 또한 국내 만화역사의 시작은 외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고 보는 경향들이 있다. 물론 몇몇 연구를 통한 과거의 흔적에서 우리의 만화역사라고 주장하지만, 대중적인 동의를 폭넓게 얻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만화역사를 연구함에 있어서 만화의 족적을 더듬어 근거를 찾고 주장하기가 쉽지는 않은 일이다. 기록되어 남아있는 역사를 만화역사로 주장하기 위해서는 타당한 근거가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삼강행실도>와 <속삼강행실도>에는 여러 만화기호의 원형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재의 만화칸 기호와 유사한 만화칸이 모든 그림에 그려지고 있다. 이는 국내 만화역사로 주장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속삼강행실도>에 등장하는 만화기호 중에서도 '만화칸' 기호를 분석한 논문이다. 조선시대의 만화칸을 연구함으로써 국내 만화역사에서 조선시대 만화역사를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가 조선시대 만화칸의 기호적인 의미를 연구함으로써 만화를 공부하거나 관심 있는 이들에게 만화역사로 인용할 수 있는 실증적인 근거가 되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로저 새빈, 만화의 역사, 글논그림밭, p.13. 2008.
  2. 정우영, 역주 속삼강행실도, 한국문화사, 2008.
  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2.
  4. 박경철, 카툰기호의 의미작용 연구, pp.41-46, 공주대학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