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disaster mental health and the roles and contributions of social work field

재난 정신건강서비스에서 사회복지분야의 역할과 개입전략 : 다차원적 접근 모델

  • 김연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1.04.28
  • Accepted : 2011.11.14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re have been increasing incidents of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that claimed many lives and caused financial calamities worldwide, which call for an attention to mental health issues affecting disaster victims. This study reviewed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disaster on the victims, the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The disaster tends to disproportionately affect the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population and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and recovery seemed to be heavily influenced by post-disaster experiences such as restor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prospect of economic recovery and resumption of normalcy in their lives,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that affect their lives.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disaster mental health should shift from its traditional approach that focuses on short-term clinical interventions to alleviate acute mental distress for the victims to a public health approach that involve medical, social and economic interventions as well as community empowerment to prevent chronicity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and to improve the general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dversely affected by the disaster.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research, policy making, education and practice were discussed.

최근에 들어 대규모의 재난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보면서 재난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 피해자의 정신건강 문제의 발생과 회복과정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영향요인 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와 이론적 논의에 대한 검토를 근거로 다차원적 재난정신건강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재난피해자의 정신건강문제는 재난이란 외상적 경험과 개인내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재난 복구 과정에 개인과 지역사회가 겪는 사회·경제·정치적 경험이 정신건강문제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재난피해자에 대한 임상적 개입에만 초점을 두는 전통적 재난정신건강모델보다는 재난 피해자 개인과 지역공동체,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환경체계에 대한 다각적인 개입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재난정신건강 서비스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다차원적 모델은 전통적인 사회복지의 개입전략들을 활용하면서 재난 피해자 개인과 지역공동체의 정신건강과 사회경제적 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차원에서 개입 전략과 사회복지분야가 취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8년도 대구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