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orphic-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induced by typhoon "RUSA" in 2002 using Shalstab Model and Remote Sensing: case study in Macheon region near Jiri-Mountain

원격탐사와 수치 모형을 이용한 2002년 태풍 "루사"에 의해 발생한 토석류 발생지점특성: 지리산 마천면 지역을 사례로

  • Kim, Minseok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
  • Kim, Jin Kwan (Geolog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
  • Cho, Youngchan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
  • Kim, Suk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민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김진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 조용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김석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11.11.15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Kompsat EOC-1 imagery, high resolution air-photo imagery and Shalstab model were used to analyze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of debris flow occurred by typhon "RUSA" in 2002, Macheon-Myen, Gyeongsang prefecture, Republic of Korea. On gully-head over 35 degree of slope angle, almost debris flow started, where slope angle is more than internal friction angle. The result simulated by Shalstab model presented larger vulnerable area to debris flow than the area where debris flow really occurred, this error would be attributed to the assumption for steady-state condition with full saturated surface. To predict the debris flow accurately, further study for rainfall and soil water flow will be needed.

2002년 태풍 루사에 의한 영향으로 전남 함양군 마천면 일대에 발생한 토석류 발생지점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Kompsat EOC-1 영상과 고해상도 항공사진, 그리고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하였다. 토석류가 발생한 지점은 사면경사가 평균적으로 35도 이상의 곡두부로 토양의 내부마찰각보다 사면경사가 큰 지점에서 사면붕괴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후 토석류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의 토석류 예측결과는 실제 발생범위에 비해 넓게 예측되었으며, 이는 지표가 포화 되어졌다는 정상상태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토석류 예측을 위해서는 추후 토양이 포화되는 시점까지의 강우량과 토양의 포화도에 대한 시간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변화연구관련 기관고유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