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teristics of Morphological Lineament in Woongcheon River-basin and its Morphotectonic Significance

웅천천 유역에 나타나는 지형선구조의 구조지형학적 특성

  • Received : 2011.12.12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is to describe morphological linear anomalies manifested in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Woongcheon river-basin, situated in the western ends of Charyong Mountainous Range, and to elucidate their morphotectonic significance. The order of decreasing valley scale in the study area is NE-SW, NNE-SSW, NNW-SSE, N-S, and E-W series. The valleys of NE-SW lineament appear as the largest in the study area, having piedmont slope, terraces, low-relif hills. NNE-SSW lineament cross obliquely the geomorphological elements of the precedent lineament. NNW-SSE, N-S and E-W lineament cut the forms of higher orders showing NE-SW and NNE-SSW lineament. Scale of the linear valleys is not correlated with the order of streams. It is paradoxal that great valleys are not associated with the rivers of highest order. It owes to adaption of regional discharge system along the valleys exploiting the fracture resulted from succeeding tectonic accidents.

연구지역인 웅천천 유역은 차령산지의 남서쪽 말단부에 위치하여 황해와 맞닿아 있다. 본 연구는 지형 규모의 연계성 차원에서 차령산지에 발달한 지형선구조 체계가 국지적 시야의 연구지역 지형경관에 나타나는 바를 확인하여 기술·설명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에서 확인되는 주요 지형선구조는 NE-SW, NNE-SSW, NNW-SSE, N-S, E-W 등의 방향이며, 그 중 NNE-SSW, NE-SW방향 선구조가 지형경관에 가장 뚜렷하게 반영되어 인식할 수 있다. 주요 산체와 곡지는 NNE-SSW 방향성을 지니며, NE-SW방향의 선구조 곡지는 비교적 규모가 크고, 저기복 구릉, 산록단구, 하안단구, 범람원 등의 다양한 지형요소가 발달하는 곳이 많다. 반면 NNW-SSE, N-S, E-W 방향 선구조 곡지는 대체로 좁고 깊지 않은 곡지로 나타나지만 선구조는 선명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연구지역의 선구조 곡지의 규모와 곡지를 흐르는 하천 차수 간에는 상관성이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