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cess of Hillslope Denudation and History of Mass-Movement at the Uppermost Stream of Maegokcheon During the Holocene

충남 매곡천 최상류에 있어서 홀로세 구릉사면의 삭박과정과 사면물질이동의 이력

  • Park, Ji-Hoon (Dept. of Geograph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ung, Hea-kyung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박지훈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 정혜경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Received : 2011.05.0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phenomenon(hereinafter called mass-movement) of movement of inorganic material originated from hillslope by denudation of hillslope surrounding the watershed during Holocen period in the Chaamgol watershed(hereinafter called study watershed) uppermost stream of Maegokcheon Cheonan-si Chungnam. To do this, for the object of allivium distributed in valley bottom of study watershed, facies analysis, radiocarbon dating and grain siz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geomorphological analysis on study watershed conducted together. The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It was confirmed that over around 9,100yrBP~to recent due to a few times of mass-movement occurred in time scale of 102~103 years, a large quantity of inorganic material is mixed in organic material layer originated from wetland formed in valley bottom of study watershed or exists between organic material layers. And it was found that in study watershed, mass-movement occurred in instable period of hillslope after the Early Holocen existed at least 8 times (M1 period~M8 period) and wetland environment formed in the stable period of hill slope existed total 4 times (W1 period~W4 period). This analysis result will be used in the future as basic material in research of Holocen climate change of Maegokcheon watershed and in restoration of denudation process of hillslope following this.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 매곡천 최상류 차암골 유역(이하 조사유역)에 있어서 홀로세 동안 유역을 둘러싸고 있는 구릉사면의 삭박에 의해 사면에서 기원한 무기물질이 곡저로 이동하는 현상(이하 사면물질이동)의 이력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사유역의 곡저에 분포하는 충적층을 대상으로 층상해석·탄소연대측정·입도분석을 실시하고 그리고 조사유역의 지형분석도 병행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약 9,100yrBP~최근에 걸쳐서 102~103년의 시간 규모(time scale)로 발생한 수 회의 사면물질이동으로 인하여 다량의 무기물질이 조사유역의 곡저에 형성되어 있는 습지기원의 유기물층에 혼입되었거나 또는 유기물층 사이에 협재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유역에서 홀로세 초기 이후 사면의 불안정시기에 발생했던 사면물질이동은 최소 8회(M1기(期)~M8기(期)) 그리고 사면의 안정기에 형성되는 습지환경은 총 4회(W1기(期)~W4기(期))가 존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본 분석결과는 향후 매곡천 유역의 홀로세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유역을 구성하고 있는 구릉사면의 삭박과정을 복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