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st Studies in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Achievements for the Past Fifty Years

한국 지리학계의 카르스트 연구

  • PARK, Sunyurp (Dep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선엽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1.11.14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Research achievement of Korean geographers on karst studi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number of publications for the past fifty years,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main periods, including beginning, youth, growth, and maturity stag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major geography journals were computed and these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in subjects and study areas. The role of moistur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Karst geomorphology compared to the other geomorphological fields. The morphology, landscape, and formation processes of tropical and temperate kars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regional and altitudinal characteristics of karst environments are significantly diverse. Thus, it is likely that the detailed records of climatic changes are preserved in the northeast Asian karst landform. Since karst geomorphology can be a major cause of natural hazards, such as collapsed surfaces or subsidence, which are associated with anthropogenic activities, including underground-water pumping and land use, education and training of physical geographers, specializing on monsoon effects, distributions of limestone, and soil characteristics, are critical issues to foster the capacity of disaster management in the nation. Moreover, knowing that the unique and spectacular landscape of karst geomorphology is a valuable, natural resource of tourism and has aesthetic values on its own, contributions of geographers to the introduction, conserv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arst environment should be emphasized.

한국 지리학계의 카르스트 연구 성과를 논문발표 수에 근거하여 편의상 지난 50년을 초창기(1960-70년대), 도약기(1980년대), 성장기(1990년대), 발전기(2000년대)로 나누어 정리해보고자 한다. 카르스트 연구논문의 통계와 분류는 학회지별로 집계하여 연구주제별로 발표 빈도를 살펴보고, 이들 연구가 수행된 사례를 지역별로 분류했다. 카르스트 지형은 그 어떤 지형학적 주제보다도 '물'의 역할이 강조되는 연구 대상이다. 열대와 온대 기후 하의 카르스트의 형태, 경관, 생성 과정이 동일하지 않고 지역별, 고도별 카르스트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은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과거 기후변화 과정이 생각보다 세밀하게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을 하게 한다. 카르스트 지형은 지하수 사용, 토지이용과 같은 인간 활동과 연관되어 지반침하를 통한 재해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계절적 강수현상, 석회암 분포, 표토의 특성을 함께 다룰 수 있는 자연지리 전문가의 육성이 앞으로 우리나라 재해 대응 역량을 키우는 데에 매우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또, 카르스트 지형이 갖는 특수한 경관은 그 자체로 심미적 대상이자 천연의 관광자원이므로, 이를 소개하고 탐구하며 개발하는 데에 지리학자들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한국지형학회 창립 20주년을 맞아 특별하게 논문집 출간을 기획하시고, 능력에 부치는 일을 필자에게 맡겨 주신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손 일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본고는 다양한 문헌조사 과정을 거쳐 수집된 논문들과 관련 정보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부산대학교 도서관, 인터넷 자료, 학과 소장 자료를 검색하고, 관련 문건을 일일이 검토하여 분류하는 시간 소모적인 일을 맡아 수고하고, 초고를 세심히 검토하여 원고 수정에 도움을 준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지리교육학 전공 김주혜와 탁한명에게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