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osition and Principles of Seoul Jinogigut (Shamanistic Ritual)

서울 진오기굿의 재차구성과 의미

  • 홍태한 (고려대학교 대학원 민속학전공)
  • Received : 2010.12.26
  • Accepted : 2011.02.2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withdrawal of the compositional principle of Jinogigut which has been performed in Seoul and the identification of its meaning based on the withdrawal. Jinogigut is a world where a god is connected to humans in complicated manners, this world and the world of the dead coexist, and it is a process of demonstrating that the dead, who have stayed in the world of humans, enter the world of a god. Jinogigut shows the process of leading the dead to the world of the dead one after another. First, the god-centered street is continued, and the gut displays through which process a god will guide the dead to the world of the dead. Next, is a human-centered street, which exhibits the appearance of the dead heading to the world of the dead following the death angel, more in detail. Finally, a human-centered structure shows how humans enter the world of the dead. Through this repetition, it reveals that the dead take a seat in the world of the dead, at last. The organization of the later part of the world of the dead-oriented gut in Jinogigut, which is god-centered, continues to a human-centered gut through the meeting between a god and humans. and , which are continued, followed by , are ceremonial rituals that confirm the dead entering the world of the dead without any problem. Begareugi shows that the entering of the dead into the world of the dead was completed with perfection by cutting hemp cloth, and informs the living that the dead expressed gratitude for holding the ritual for him/her by appearing at the venue of the gut once again and that the dead settled into the world of death. , which finally holds ancestral rites to the god of ancestors who is seated in the world of the dead, reveals that the dead, who had been a human,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god of ancestors through Jinogigut. Jinogigut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comforting a client (who is the family of the dead) of the gut, who has faced a sudden death in his/her family. What is the most important for consoling the client is to display that the dead has entered the world of the dead without any problem. Jinogigut shows this process through a three-layered structure. It exhibits how the dead would be moved to the world of gods, as well as the safe entering of the dead who followed Jeoseung-saja(envoy from the world of the dead) and who had appeared to this world from the world of the dead. Then, it demonstrates again the appearance of the dead entering the world of the dead following Barigongu; thus, it placates the heart of the client's family.

이 글은 서울지역에서 행해지는 진오기굿의 구성 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미를 규명한 글이다. 진오기굿은 신과 인간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이승과 저승이 혼재되어 있는 세계이고, 인간의 세계에 있던 망자가 신의 세계로 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의례이다. 진오기굿은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과정을 차례로 보여준다. 먼저 신 중심의 거리가 연행되는데, 신이 어떤 과정을 통해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할지를 보여준다. 다음으로는 신과 인간이 중심이 되는 거리로 사자를 따라 저승으로 가는 망자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인간 중심의 구조로 인간이 어떻게 저승으로 들어가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반복을 통해 망자가 마침내 저승에 좌정했음을 드러낸다. 신 중심의 굿거리가 신과 인간의 만남을 거쳐 인간 중심으로 연행되는 것이 진오기굿 후반부 저승굿의 짜임이다. <도령돌기> 이후에 연행되는 <베가르기>, <뒷영실>은 망자가 온전하게 저승에 들어갔음을 확인하는 의례이다. 베를 갈라 망자가 저승으로 들어가는 것이 완벽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주고, <뒷영실>에서 망자는 다시 한 번 굿청에 들어와 굿을 해 준 것에 대한 감사함과 함께 죽음의 세계에 안착했음을 알려준다. 저승에 좌정한 조상신에게 비로소 제사를 올리는 <상식거리>는 진오기굿을 통해 인간이었던 망자가 조상신으로 변화했음을 알려준다. 진오기굿은 갑작스러운 죽음을 겪은 재가집을 위로해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재가집의 위로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망자가 무사히 저승으로 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진오기굿은 그러한 과정을 삼중구조를 통해 보여준다. 신들의 세계에서 망자가 어떻게 천도될 것인가를 보여주고, 저승에서 이승으로 나온 사재를 따라 망자가 무사히 저승으로 들어감을 보여준다. 다시 바리공주 뒤를 따라 저승으로 들어가는 망자의 모습을 보여주어 남은 가족의 마음을 달래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