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Legacy of Traditional Honam Choreography - Via Han Jin-ok and Lee Mae-bang

호남춤의 예맥(藝脈), 전통춤의 전승에 관한 논의 - 한진옥과 이매방을 통해서

  • Received : 2010.12.31
  • Accepted : 2011.02.2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gitimacy and features of Honam Choreography via Lee Mae-bang and Han Jin-ok, two of the masters, and to seek better and more creative ways to pass it down in view of regional particularities. The study looks into the traditional choreography's multi-conceptuality that is derived from various forms of art and lends it its identity with the original notion rooted in Buddhist dancing. Despite the local cultural traits of the Honam area, the fact that Lee Mae-bang is more feminine and Han Jin-ok more masculine shows the two's worlds of dancing have been creat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ough they are quite common in their roots and locales. The particularities of passing down traditional choreography are given a thought in this study with the distinction and identity taken into account. Also, it will give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localism a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ommunica tion channel. In any case, there is no doubt that local difference and communica tion make a very important source of culture when we look into the originality of the choreography.

본 연구는 호남춤의 양맥이라 불리우는 명무 이매방과 한진옥을 통해 호남춤의 정통성과 성향을 알아본 후, 춤의 원형성과 호남춤으로서의 명맥, 그리고 전승과 창조적인 발전을 지역적 특수성과 함께 연관해 본 것이다. 이러한 전승에 관한 논의는 전통춤의 계승차원에서 원개념('승무'라는 본질적 의미)에 대한 맥락에서, 다양한 예술형태로서 독자성을 부여받게 되는 전통춤의 다개념적 성향을 살펴보고 있다. 호남의 문화적 성향에도 불구하고 이매방과 한진옥 춤이 여성성과 남성성에 있어 대조적인 춤사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은, 다소 같은 원개념의 춤의 본질과 호남이라는 지역적 특수성로부터 다른 시각에서 각색되어 있는 춤의 세계를 의미한다. 전통춤의 전승과정에서 이 같은 변형이 가져다 준 상황과 독자적인 문화권에서의 전승된 경로를 통해 전통춤 전승의 특수성을 재고해보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들의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재조명해보는 것은 원형성과 다변성의 전통전승의 미의식과 다양한 소통적 개념으로서 로컬리즘localism의 중요성을 함께 논의하기 위함이다. 결국 호남류의 원형성을 탐구해본 결과 문화적 차원에서 로컬리즘의 차이와 소통은 매우 중요한 원소스가 되는 것이 분명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