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Pansori Performance

판소리 공연학 총론

  • Received : 2011.06.20
  • Accepted : 2011.08.20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Pansori has both the features of drama and music. In 19th century, prime time of pansori, it had balance of the features between drama and music. But after the late 19th century, pansori has lost the features of drama, and it has been changed into a music centered art performance. This is the phenomenon came from that the upper class accepted and dominated the pansori which had been a performance art of the lower class. The Korean upper class people tend to disdain drama, but to revere music. Nerremsae is dramatic action and ballim is musical gesture in pansori. In 19th century, pansori had plenty of nerremsae, which provided a elaborative symbolic system after the conventional rule of drama. However current pansori actors use only ballim except nerreumsae. Chuimsae like 'ulssigu' is the way to participate in pansori by audience. The actor provides the space for the audience to fill it after inducement by drummer. Through the chuimsae, actor, drummer, and audience share the sympathetic emotional experiences. However the audience in these days do not do chuimsae, but do applause like in western dramas. In western dramas, distinction between tragedy and comedy is relatively clear. The tragedy is constantly tragedy, and the comedy is also constantly comedy. However joy and sorrow are coexisted in Korean pansori. These two contradictory emotions are collided and produce a new strong emotion in a pansori. This is one of very important feature of pansori. Even though each of tragedy and comedy reveals the only one side of life, pansori comprehensively reveals a total human life. However these strong emotions have been much weakened nowadays. Currently pansori has been much declined. For restoration of pansori,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drama side in pansori performances.

판소리는 연극성과 음악성을 공유하고 있는 공연예술이다. 판소리의 전성기였던 19세기에 판소리는 연극성과 음악성이 균형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19세기 말기 이후로 연극성이 약화되고 음악성이 강화되어 판소리는 음악 중심의 공연예술로 변모하였다. 이것은 원래 하류계층의 공연예술이었던 판소리를 상류계층에서 수용하면서 일어난 현상이다. 우리나라 상류계층에서는 연극을 천시하고 음악을 존숭하였다. 발림은 노래할 때에 곁들이는 가벼운 율동적 동작이고, 너름새는 연극적 행동이다. 판소리의 너름새는 시각과 청각을 모두 동원하고, 변화가 무쌍하고, 표출력이 강렬하여 청관중을 순식간에 울게 하고, 또 순식간에 웃게 한다. 19세기의 판소리는 판소리 고유의 너름새를 풍족하게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연극적 약속에 따라 정교한 상징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요즈음의 판소리 창우들은 너름새를 하지 않고 발림을 한다. 세련된 판소리 공연에서 추임새는 창우와 청관중의 경쟁적 대결이다. 창우는 다양한 방법으로 빈 공간을 만들어주고, 청관중은 거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그 빈 공간을 메운다. 이러한 대결은 창우와 청관중이 협력하여 신명나는 소리판을 완성한다. 고수는 추임새를 유도한다. 창우와 고수와 청관중은 추임새를 통하여 하나로 결속하는 정서적 체험을 한다. 그러나 요즈음의 청관중은 추임새를 하지 않고 박수를 한다. 마치 서양 연극에서처럼. 서양 연극에서는 대체로 비극과 희극의 구별이 철저하다. 비극은 시종일관 비극이고, 희극은 시종일관 희극이다. 이에 비하여 판소리에서는 울음과 웃음이 공존한다. 상반되는 정서를 충돌시켜 더욱 강렬한 정서를 유발하는 것이 판소리의 특징이다. 또한 비극과 희극은 각각 인생의 한 측면만 보여주는 데에 반해서 판소리는 인생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요즈음의 판소리에서는 강렬한 정서가 많이 약화되었다. 요즈음의 판소리는 많이 쇠퇴하였다. 판소리를 부흥시키기 위해서는 판소리의 연극성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