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of "Imagined Ethnicity" in World Music

월드뮤직에서 "상상된 민족"의 정치학

  • Kim, Hee-su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 김희선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
  • Received : 2010.12.28
  • Accepted : 2011.02.2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If we remember that modern world history has built systems of meaning through the concepts "difference," "different," and "other-ness" and has constructed new identity based on opposing hierarchy, music anthropology which tried to build "difference" between the west and the non-west was thoroughly west -centered, in the sense that it has perceived the heterogeneous symbolic systems among nations, as well as the barrier between the two cultures. On the other hand, world music, which has emerged as the most attractive field in culture industry and concert-art-market by crossing over global capitals, markets, and barriers, can be considered the most post-modernist and glocal. Howev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world music, which has been described as post-modern and glocal, has "difference" and "different" in its basis, just like the precepts for modern music anthropology (Meintjes 1990; Guilbault 1993; Taylor 1997; Frith 2000; Feld 1988). Furthermore, one can understand that the "different" and "difference," generally termed as being "non-western," are fundamentally based on ethnic or national imagination. In this sense it is interesting and important to examine such ethnic imagination in the "non-western ethnic musics" in music anthropology and in world music. Notwithstanding the attention paid and research made by music anthropologists, they have failed to elevate the "non-western ethnic musics" to become universally communicative, and these ethnic musics were reborn as "global" and "world music," through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derivation," and "hybridization," with the west as major site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anwhile, the audience for world music, which did not exist before the birth of world music as a term, was now born as world music emerged. They are global populace who consume the musical "difference" and "imagined ethnicity," who through their consumption are constructing new social meanings including ethnicity, race, nation, and class identity. This study, by examining current discourse, performance, and process for the world music through media and field studies and scholarly debates, attempts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magined ethnicity." This will also shed light on how "ethnicity" is created and consumed, and how this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world music.

세계역사가 서구의 식민지배와 근대를 통해 엘리트적 서구예술음악이 중심으로 부상되는 과정에서 지역의 음악들은 전근대적, 주변적 지위로 위치지워졌다. 20세기의 대중음악은 서구의 자본주의, 상업주의, 음반산업, 대중매체, 기술과 정보의 확산을 통해, 새로운 중심의 지위를 차지하였고 21세기 들어 다양한 글로컬리제이션과 초문화적 초국경적 문화현상을 첨예하게 보여주는 장이 되어가고 있다. 전 지구적 자본, 시장, 경계의 넘나듦을 실천하고 문화산업, 대중음악, 공연예술시장에서 매력적인 분야로 성장하고 있는 월드뮤직은 식민지와 근대를 통해 '서구'에게 발견되었던 '비서구'의 '민속적' '전통적'인 음악들이 가장 탈근대적인 방식으로 '차용' '적합화' '혼종'된 음악으로, 글로컬리제이션을 실천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포스트 모던시대를 대표하는 음악현상인 월드뮤직도 기본적으로는 근대적이었던 음악인류학의 전제와 마찬가지로 '다름'과 '차이'를 기반으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탈영토화된 월드뮤직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타자의 이국적인 음악으로 민족적인 것으로 재현되고, 재현된 민족성은 글로벌시대 다양한 맥락을 가진 로컬의 청중들에게 각기 다른 방식으로 체험된다. 혼종을 실현한 월드뮤직에서도 민속적 악기들, 민속적 보컬스타일들은 월드뮤직의 민족적 음악풍경을 구성하면서 구체화한다. 또한 월드뮤직의 청중은 음악적 '다름'과 '상상된 민족'을 소비하는 글로벌 대중으로 일상의 음악적 소비와 체험을 통해 다층적 사회적 의미들을 구성하고 있다. 월드뮤직의 초문화적 음악적 실천은 기본적으로 민족의 상상을 기반으로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상상은 구체적으로 음악의 양식을 뛰어넘어 글로벌 정치, 경제, 문화의 특정조건들 속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민족을 상상하는 생산자와 매개자, 그리고 로컬적 삶의 경험속에서 '다름'과 '차이'를 다시 민족적으로 구성하여 인식하는 해석자의 다양한 상상력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세계"로서의 전 지구를 상상하고 민족성의 새로운 의미를 "주조하고 동원"한다. 월드뮤직은 다층적인 "상상된 민족들"의 세계가 교차되어 만들어진 구성물로 수많은 초문화적인 의미들을 생산해 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