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 공동주택의 승강로가압을 이용한 차압 및 방연풍속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ressure Difference and Critical Velocity by Pressurization of Elevator Shaft at High Rise Apartment

  • 박경환 (서울시립대학교 재난과학과) ;
  • 윤명오 (서울시립대학교 재난과학과)
  • 투고 : 2011.06.03
  • 심사 : 2011.08.12
  • 발행 : 2011.08.31

초록

(초)고층건축물에서 승강로가 연기 확산의 주요 통로였기 때문에 승강기를 통해 피난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았다. 하지만 북미에서는 승강로를 연기로부터 방호하기 위해, 승강로를 가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이번 시험은 실제로 승강로 급기가압 방식을 이용해서 연기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지와 피난수단으로 승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고층 아파트에서 실시되었다. 시험 결과 승강로가압은 공기의 이동에 의한 마찰손실이 작았기 때문에 150 CMM의 풍량에서 승강장과 세대 사이에 50 Pa의 차압을 전층에 고르게 형성시켰다. 또한 1개층 세대 문과 승강기 문이 동시에 개방되었을 때, 180 CMM의 풍량으로 연기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방연풍속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승강로가압은 모든 문이 닫힌 상태에서 차압유지에 필요한 풍량과 1개층이 개방되었을 때 방연풍속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풍량의 차가 작아서 과압의 우려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이번 시험을 통해 고층아파트의 화재 시에 승강로가압을 적용하면 일반인과 피난약자의 피난수단으로 승강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t is not recommended that elevator use for egress at (super) high rise buildings because elevator shaft main roles to spread of fire smoke. But in North America used to protect this area by elevator shaft pressurization. These tests are performed at high rise apartment to verify that elevator shaft pressurization can protect to spread of fire smoke or not. and verify to used for egress at fire. Pressurization at elevator shaft make pressure difference of 50 Pa all floor at 150 CMM because this method have low friction loss from air flow. Also when dwelling door and elevator door are opened that critical velocity is performed to protect of back-layering from fire room for escape routs by 180 CMM. Therefore through out these pressurization tests by elevator shaft are estimated to have less overpressure because supply air difference are low between to satisfy critical velocity at one door opened and maintain to pressure difference all doors closed. Finally we verified that disable or residual people can use elevator for egress at fire by elevator shaft pressur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W.G. Berl and B.M. Halpin, "Human Fatalities from Unwanted Fires", J. Hopkins APL Tech., pp.129 (1980).
  2. 한양대학교 건축설비.환경 공학 연구실, "대연각호텔 화재", 한국화재소방학회, Vol.2, No.2, pp.82- 87(1988).
  3. G.T. Tamura and J.H. Klote, "Experimental Fire Tower Studies of Elevator Pressurization Systems for Smoke Control", ASHRAE Transactions(1987).
  4. G.T. Tamura and J.H. Klote, "Experimental Fire Tower Studies on Mechanical Pressurization to Control Smoke Movement Caused by Fire Pressures", Fire Safety Science -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ire Safety Science(2010).
  5. NFPA, "Handbook of Life Safety Code"(2000).
  6. ICC, "International Building Code"(2009).
  7. 내무부, "특수장소에 부설된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제연설비에 관한 기술기준"(1995).
  8. 소방방재청,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 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501A)"(2006).
  9. 김학중, 김범규, 박용환, 임채현, "엘리베이터 승강로 형식별 압력변동에 관한 실험 연구", 환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4, No.3, pp.139-144(2010).
  10. 박재현, "승강기 승강로 가압에 의한 비상용승강기승강장 차압 및 방연풍속 성능 개선", 한국화재소방학회지, Vol.4, No.2, pp.139-144(2008).
  11. 최금란, 유승관, 윤명오, "기존 건축물의 승강로 화재 안전성능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303-310(2010).
  12. 국토해양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