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sign Factors of Complex Damper for Ventilation and Fire Protection

환기 및 소방용 복합댐퍼의 설계인자에 관한 연구

  • 이동명 (경민대학교 소방행정학과)
  • Received : 2011.04.25
  • Accepted : 2011.08.1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is study carried out the design and analysis of complex damper as basis study for development of complex damper for ventilation and fire protection. This study established design and analysis theory of complex damper based on process, kinematics mechanism and mechanism modelling of complex damper. And this study established engineering data construction and a source technology that can design each element of complex damper through motion analysis simulation based on design and analysis theory. Therefore, it got result that can apply comprehensively in development of complex damper for ventilation and fire protection from this study. Also, it sees that can ready control means and technological countermeasure of smoke to developed of complex damper with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환기 및 소방용 복합댐퍼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복합댐퍼의 설계인자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댐퍼의 프로세스와 운동 메커니즘, 기구 모델링을 바탕으로 복합댐퍼의 설계 및 해석이론을 제시하였고, 설계 및 해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운동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복합댐퍼의 각 요소를 설계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데이터 구축과 원천기술을 확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환기 및 소방용 복합댐퍼 개발에 폭넓게 응용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복합댐퍼가 개발되면 환기풍도로부터 유입되는 연기제어와 기술적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축법,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규칙", 국토해양부(2009).
  2. 건축법,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부(2009).
  3. NFPA 96, "Standard for Ventilation Control and Fire Protection of Commercial Cooking Operations" (2009).
  4. Matt Lombard, "Solidworks 2009 Bible", Wiley Publishing, Inc.(2009).
  5. 박진철, "공동주택의 환기설비", 설비저널, Vol.35, No.5, pp.3-5(2006).
  6. 이동명, "제연공학", 성안당, pp.134-155(2009).
  7. 이동명, "제연구역 출입문의 자동폐쇄장치 운동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4, No.3, pp.106-112(2010).
  8. 강명순, 손명환, 기구학, 동명사, pp.15-94(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