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of Non-loadbearing Ceiling Systems

비내력 천장구조 내화성능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최동호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 김대회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 박수영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Received : 2011.03.21
  • Accepted : 2011.08.1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Fire resistance ceiling system is the structure of which the ceiling installed under the slave of the structure has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Because of hav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fire resistive coatings on steel beams can be reduced and large span structures can be constructed. So, it have advantages of convenience for construction, shorten for construction time and cost reducing. In foreign country, it is general that one system consisting of slave and ceiling is constructed as a fire resistance system. But in Korea, there are no fire resistance ceiling systems thus economical efficiency due to being high-rise and light-weight of structures is not secured.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ominal fire resistance ceiling systems is necessary. On this study, fire resistances of standard non-loadbearing ceiling systems were assessed and basic informations for developing the fire resistance non-loadbearing ceiling systems were presented.

건축물의 바닥 하부에 설치되는 비내력 천장이 일정 시간의 내화성능을 확보할 경우 바닥 및 보에 요구되는 내화성능의 감소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건물시공시 이들 부재에 시공되는 내화피복 절감 및 충전구조 시공 완화 등으로 인하여 공간 구획의 활용성이 증가하여 비교적 경량으로 대규모 공간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건물 시공 유지관리의 편의성 확보, 공사기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과 같은 경제적인 건축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외국에서는 보 바닥 및 천장재를 하나의 복합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내화구조로 시공하거나 천장자체의 내화성능을 확보하는 경우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건축물의 고층 경량화에 따른 경제적인 효율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내화성능을 확보한 표준화된 비내력 내화천장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적인 비내력 천장구조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여 향후 비내력 내화천장구조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고시 2010-331, 내화구조인정및관리기준 (2010. 5).
  2.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NFPA 5000, Building Construction and Safety Code(2006).
  3. KS F 2257-9 :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비내력 천장의 성능조건(2008).
  4. UL (Underwriters Laboratories) Directory(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