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School-Ag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Its Related Variables

  • 이희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 문수백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Lee, Hi-Eun (Dept. of child studies, Catholic Univ. of Daegu) ;
  • Moon, Soo-Back (Dept. of child studies, Catholic Univ. of Daegu)
  • 투고 : 2011.05.06
  • 심사 : 2011.08.12
  • 발행 : 2011.08.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6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Pohang-City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school adjustment, internal problem behavior, external problem behavior,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A variance-co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S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adaptability, family cohesion, internal problem behavior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how the children adjusted to their school. Second,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had a direct effect on internal problem behavior. Third, family cohesion had a direct effect on external problem behavior, but family adaptability had a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external problem behavior that was mediated by their internal problem behavior. Fourth, internal problem behavior had a direct effect on external problem behavio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미(1994). 소아기 우울증-소아기 우울증의 개관과 발달학적 측면. 소아청소년정신의학, 5(1), 3-11.
  2. 강명희(2000).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 아동, 교사 평가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경은(2002). 빈곤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현자(2000).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 및 가족관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곽금주․문은영(1993).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 및 우울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6(2), 29-43.
  6. 곽수란(2006).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1), 1-26.
  7. 구자은(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미희(1997).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유형과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수미(2000).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또래 수용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연순(2001). 가정환경변인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희․안상미(2008).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갈등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청소년학연구, 15(2), 1-31.
  12. 김윤희(1990). 부부관계, 부모-자녀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자녀 비행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인경(2010).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재호(2006).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주연(1997). 가족기능에 따른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노숙영(1998). 중학생의 학교적응, 학업성취, 정서 및 문제행동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문수백(2003).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의 실제. 서울: 학지사.
  18.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9. 문은식․김충희(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16(2), 219-241.
  20. 문은정(2001).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지각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민하영(1992).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3(1), 112-124.
  22. 민하영․권기남(2004).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 적응. 아동학회지, 25(2), 81-92.
  23. 박미선(2007).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성연․강지훈(2005).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25. 박영희(2001). 흡연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불안 및 우울 : 대전 지역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은조(2001). 중학생의 우울성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은주(2001).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부모, 친구,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춘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백혜정․황혜정(2006).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3), 1-27.
  29. 성민선․이상오․정무성․정은(1998).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위한 학교 사업 실천모델 연구, 학교사회사업, 창간호.
  30. 성영혜(1992). 부모의 사회적 지지체계가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손희준(1987). 고등학생의 우울성향과 학교적응과의 상관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송미원(1999).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불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승연경(2003).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체계 및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우울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신현숙․이경성․이해경․신경수(2004). 비행 청소년의 생활 적응문제에서 우울/불안 및 공격성의 합병 효과와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491-510.
  35. 안영복(1984).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 변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오경자․하은혜․이혜련․홍강의(2001). 청소년 자기행동평가 척도(K-YSR). 서울: 휴노컨설팅.
  37. 옥경희․김미해․천희영(2002). 조절력과 부정적 정서 및 문제 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61-68.
  38. 윤찬정(1994). 가족의 기능성과 개인의 인성 특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윤혜미․박병금(2005).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관련 요인-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8, 133-164.
  40. 이경님(2006). 아동의 개인, 가족 변인 및 학교적응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31-44.
  41. 이규미(2005).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83-398
  42. 이규미․김명식(2008).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l5(1), 27-40.
  43. 이미라(2000).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이영미․민하영(2004).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및 학교적응에 따른 아동의 우울성향. 대한가정학회지, 42(4), 1-10.
  45. 이정윤․이경아(2004).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61-276.
  46. 임경희(1998). 가족체계의 특성과 아동의 성격차원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임용우(1984). 가족체계유형과 청소년의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8. 장동산․이길홍․민병근(1985). 한국청소년의 불안 및 우울 성향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의대지, 10(4), 405-422.
  49. 장신재․양혜원(2007). 부모-자녀관계, 우울 및 공격성과 학교 적응 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18(2), 5-29.
  50. 전귀연(1994).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가족 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전귀연․최보가(1995). 가족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99-113.
  52. 정윤주(200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 문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 문제. 아동학회지, 25(6), 205-223.
  53. 정현희(2003). 중학교 진학 후의 심리적 부적응을 예측하는 요인. 청소년 상담연구, 11(2), 36-26.
  54. 조종현(1980). 고교생의 학교생활 적응문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차유림(2000).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최지은․신용주(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10
  57. 함종한(1984). 청소년-교육심리학적 접근. 서울: 상조사.
  58. 허주연(2005).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가족체계가 아동의 친구 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홍강의․홍경자(1986). 국민학교 아동의 행동문제 연구(II). 서울의대 정신의학, 11(1), 39-47.
  60. 홍현화(1997).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과 아동의 학교적응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1. 매일신문(2010). 학교 부적응 학생 도울 수 있는 체제 마련 시급하다. 2010. 10. 07.
  62. 제주일보(2011). 열 중 한 명은 '스스로 불행', '학교 싫증' 인식. 2011. 2. 23.
  63. Achenbach, T. M.(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64. Angold. A., Costello, E. J., and Erkanli, A.(1999). Comorbidit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0(1), 57-87. https://doi.org/10.1111/1469-7610.00424
  65. Carlson, G. A.(1980). Unmasking maske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of psychiatry. 137, 445-449.
  66. Chiles, J. A., Miller, M. L., and Cox, G. B.(1980). Depression in an adolescent delinquent population. Archives general psychiatry, 37, 1179-1184. https://doi.org/10.1001/archpsyc.1980.01780230097015
  67. Conger, J. J. & Paterson, A. C.(1984). Adolescent and youth. N.Y.. Haper & Row Publishers.
  68. Craighead, W. E.(1991). Cognitive factors and classifiction issues in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2), 311-326. https://doi.org/10.1007/BF01537614
  69. Handel, G.(1965). Psychological study of whole families. Psychological bulletin, 63, 9-41.
  70. Kovacs, M., Paulauskas, S., Gatsonis, C., and Richards, C.(1988). Depressive disorders in childhood III. A logitudinal study of comorbidity with and risk for conduct disord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5, 205-217. https://doi.org/10.1016/0165-0327(88)90018-3
  71. Herschi. T.(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2. Marriage, K., Fine, S., Moretti, M., & Haley, G.(1986).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onduct dis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iatry, 25, 187-254
  73. Olson, D. H., Porter, J., & Lavee, Y.(1985). FACESIII.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74. Olson, D. H., Russel, C. S., & Sprenkle, D. H.(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IV.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22, 69-83.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3.00069.x
  75. Rex B. Kline(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Guilford Press.
  76. Stewart, E., Makenry, P., Redd, N., & Gavazzi, S.(1994). Family processes as mediators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among rural adolescents. Family relations, 43, 38-45. https://doi.org/10.2307/58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