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준희 (2001), 고신라기 토우에 나타난 복식 연구, 복식, 51(4), pp. 57-69.
-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pp. 103-113.
- 권준희 (2001), 통일신라의 치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pp. 539-547.
- 윤지원 (2003), 長袖衣에 관한 연구 -漢부터 唐시대의 무용복을 중심으로-, 복식, 53(4), pp. 17-29.
- 채금석 (2005), 저고리 세부 구조의 발생과 그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를 중심으로-, 복식, 55(1), pp. 113-128.
-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p. 9-16.
- 국립경주박물관 (1996), 신라인의 무덤, 서울: 통천문화사, p. 101.
- 안정복 (1778), "동사강목", 한국고전종합DB, 자료검색일 2010. 9. 1,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 국사편찬위원회 (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두산동아, p. 31.
- 김부식 (1145), 三國史記,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역(1991), 北譯三國史記上,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을 참조함.
- "경주 황성동 출토 여인 토용" (2009. 2. 21), 계림의 국토박물관 순례, 자료검색일 2010. 2. 17, -http://blog.daum.net/kelim/15712077
- 常沙娜主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3: 歷代服飾卷, 天津: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22.
- 조우현, 권준희, 박윤미, 김혜영, 조현진 (2006), 대가야복식, 경북: 대가야박물관, pp. 213-228,
- 김부식 (1145), 三國史記,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역(1991), 北譯三國史記上,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을 참조함. pp. 143-144.
- 윤지원 (2003), 長袖衣에 관한 연구 -漢부터 唐시대의 무용복을 중심으로-, 복식, 53(4), pp. 26-28.
-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p. 106.
- 권준희 (2001), 고신라기 토우에 나타난 복식 연구, 복식, 51(4), pp. 68-69.
- 한치윤, 한진서 (18C), "해동역사", 한국고전종합DB, 자료검색일 2010. 10. 16,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 10.
-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 12.
- Bloom, Jonathan & Blair, Sheila (1997). Islamic Arts, 강주헌 역 (2003), 이슬람 미술, 파주: 한길아트, p. 90.
- 전용신 역 (1990), 完譯日本書記, 서울: 일지사, p. 559.
- 김윤구 (2009. 12. 16), "석가탑 유물 중 유리구슬 등 추가 확인",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0. 4. 17, http://www.yonhapnews.co.kr/culture/2009/12/16/0901000000AKR20091216173900005.HTML
- "불국사 석가탑 유리구슬" (2009. 12. 16),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0. 4. 17, http://app.yonhapnews.co.kr/YNA/ Basic/Gallery/YIBW_showPhotoNews_New.aspx?contents_id=PYH20091216071400013
- "불국사 석가탑서 최고 비단 보자기" (2009. 12. 16), 한겨레, 자료검색일 2011.04. 21, http://photo.media. daum.net/photogallery/culture/0804_culturenews/cluster_list.html?newsid=20091216165809648&clusterid=108653&clusternewsid=20091216170207404&p=yonhap
-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89.
-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9, 14, 16, 21, 48, 59, 61, 64, 70, 71을 참조하여 제작함.
-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5.
- 주성희 (2009), 오녀배자에 대한 연구, 2009 한국복식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p. 132.
- 최해율 (2009), 조선 초중기 양반부녀복식의 복요 유행을 응용한 구체관절인형 고증의상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9), p. 1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