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sign for Doll Costume with Historical Research in Clay Female's Costume from Hwangsung-dong Tomb

황성동 출토 여성토우의 복식 고증과 돌 코스튬 응용디자인 연구

  • Choi, Jeong (Dept. of Fashion Design & Apparel Industry/Institute for Better Living, Wonkwang University)
  • 최정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부 패션디자인산업/생활자원개발연구소)
  • Received : 2011.04.28
  • Accepted : 2011.07.25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is study is to design a ball-jointed doll costume with historical research in clay female doll's costume from Hwangsung-dong tomb of the Silla Dynasty[新羅] in 7C. This clay female doll's costume was characterized by slim silhouette, long sleeves, no neckline, side slit, high waistline, and bun on the back neck of representative of the early era. According to literature of 7-8C and textile relics, it is presumed that she wore short Jeogori[短衣, Dan-eui] with long sleeves and two layered skirt, and Dan-ryeong(團領) could be added as attachment that is reflective of the time era. For making design costume, Ra[羅, silk gauze] was used for long Dan-ryeong, plain silk and brocade[錦, Geum] for Dan-eui and skirt as a special textile of this period. Waist dart and small snap were added to the costume of ball-jointed doll because of hardness and curvy shape of doll's body, without contradicting traditional value. For better use of this study and cost reduction purposes, development of production system for traditional doll costumes should be considered.

Keywords

References

  1. 권준희 (2001), 고신라기 토우에 나타난 복식 연구, 복식, 51(4), pp. 57-69.
  2.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pp. 103-113.
  3. 권준희 (2001), 통일신라의 치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pp. 539-547.
  4. 윤지원 (2003), 長袖衣에 관한 연구 -漢부터 唐시대의 무용복을 중심으로-, 복식, 53(4), pp. 17-29.
  5. 채금석 (2005), 저고리 세부 구조의 발생과 그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를 중심으로-, 복식, 55(1), pp. 113-128.
  6.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p. 9-16.
  7. 국립경주박물관 (1996), 신라인의 무덤, 서울: 통천문화사, p. 101.
  8. 안정복 (1778), "동사강목", 한국고전종합DB, 자료검색일 2010. 9. 1,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9. 국사편찬위원회 (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두산동아, p. 31.
  10. 김부식 (1145), 三國史記,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역(1991), 北譯三國史記上,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을 참조함.
  11. "경주 황성동 출토 여인 토용" (2009. 2. 21), 계림의 국토박물관 순례, 자료검색일 2010. 2. 17, -http://blog.daum.net/kelim/15712077
  12. 常沙娜主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3: 歷代服飾卷, 天津: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22.
  13. 조우현, 권준희, 박윤미, 김혜영, 조현진 (2006), 대가야복식, 경북: 대가야박물관, pp. 213-228,
  14. 김부식 (1145), 三國史記,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역(1991), 北譯三國史記上,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을 참조함. pp. 143-144.
  15. 윤지원 (2003), 長袖衣에 관한 연구 -漢부터 唐시대의 무용복을 중심으로-, 복식, 53(4), pp. 26-28.
  16.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p. 106.
  17. 권준희 (2001), 고신라기 토우에 나타난 복식 연구, 복식, 51(4), pp. 68-69.
  18. 한치윤, 한진서 (18C), "해동역사", 한국고전종합DB, 자료검색일 2010. 10. 16,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19.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 10.
  20.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 12.
  21. Bloom, Jonathan & Blair, Sheila (1997). Islamic Arts, 강주헌 역 (2003), 이슬람 미술, 파주: 한길아트, p. 90.
  22. 전용신 역 (1990), 完譯日本書記, 서울: 일지사, p. 559.
  23. 김윤구 (2009. 12. 16), "석가탑 유물 중 유리구슬 등 추가 확인",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0. 4. 17, http://www.yonhapnews.co.kr/culture/2009/12/16/0901000000AKR20091216173900005.HTML
  24. "불국사 석가탑 유리구슬" (2009. 12. 16),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0. 4. 17, http://app.yonhapnews.co.kr/YNA/ Basic/Gallery/YIBW_showPhotoNews_New.aspx?contents_id=PYH20091216071400013
  25. "불국사 석가탑서 최고 비단 보자기" (2009. 12. 16), 한겨레, 자료검색일 2011.04. 21, http://photo.media. daum.net/photogallery/culture/0804_culturenews/cluster_list.html?newsid=20091216165809648&clusterid=108653&clusternewsid=20091216170207404&p=yonhap
  26.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89.
  27.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9, 14, 16, 21, 48, 59, 61, 64, 70, 71을 참조하여 제작함.
  28.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5.
  29. 주성희 (2009), 오녀배자에 대한 연구, 2009 한국복식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p. 132.
  30. 최해율 (2009), 조선 초중기 양반부녀복식의 복요 유행을 응용한 구체관절인형 고증의상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9), p. 1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