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 Study on the Design Elements for Energy Conservative Green-Home Prototyping

에너지 저감형 그린홈 프로토타이핑을 위한 설계요소 분석 연구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7.27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In respond to the global energy crisis and climate change, there have been many ongoing national efforts to develop a sustainable housing prototype followed by "2 million Green Home Project" in Korea. More than 50% of nation's population are currently living in apartment housing thus the country is seriously in need of developing green apartment prototype. In this research, we focused on energy-conservative green apartment design prototype that have both passive components and active systems explored in a systemic design approach. After selecting an existing basic apartment unit, we analyzed and compared statistical data with the simulated annual energy consumption to match these two data sets for validating simulation accuracy performed with TRNSYS package. We performed energy simulations with different passive design factors such as varied insulation thickness, window types and infiltration rates as well as the active design factors including boilers and lighting fixtures to analyze their impacts on the energy performance of the housing unit using TRNSYS software. As a result, we acquired significant energy reduction effect with explored design strategies but the life cycle cost analysis for the final design guidline would need to be performed. In this study, we focused on a systematic comparative energy analysis based on TRNSYS that can improve the design of a green apartment housing.

Keywords

References

  1. 서동구 외 1인(2008),생태주거단지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계획요소-제어요소-평가지표 연계시스템-에너지 계획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응용학회논문지:제11권 2호, pp.49-58
  2. 최정은 외 2인(2008),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 본 독일 및 네델란드 생태주거단지의 계획요소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4권 제2호 통권 42호, pp. 27-34
  3. 여현지 외 2인(2010), 국내 건축물 평가 제도간 에너지성능평가방법의 비교를 통한 개선 방향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술발표대회논문집: 제 12권 1호 통권 21호, pp. 227-230
  4. 김병수 외 3인(2001), 자립형 주택기본계획안을 위한 시뮬레이션 성능평가,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 21, No. 4, pp.13-20
  5. 원종서 외 1인(2007),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의 적용 기술, 건축-도시연구정보 센터(AURIC) 춘계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제 7권 제 1호, 통권 12호, pp. 207-210
  6. 백남춘 외 5인(2007), 제로에너지 태양열주택의 실증시험연구,한국태양에너지 학회 2007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48-53
  7. 대림산업(2010), 저에너지 공동주택 요소기술 적용방안 및 에너지 저감율 산정에 관한 연구, 친환경건축연구센터연구보고서
  8. 김한수 외 2인(2009), 창호 및 단열재 변수에 따른 공동주택 에너지효율등급 평가사례, 대한설비공학회 2009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706-071
  9. 김용식(2002), 건축적 수법을 통한 주택의 에너지 절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논문집, Vol. 13, No.2, pp. 73-78
  10. 김치훈 외 3인(2009),공동주택에서의 창호성능에 따른 건물 에너지 효율등급 평가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 춘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29, No. 1, pp. 291-295
  11. 국토해양부 주택토지실(2007), 지역별 주택규모현황
  12. 통계청 조사관리국 인구충조사과(20050, 점유형태/가구원수/사용방수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13. 통계청 조사관리국 인구충조사과(20050, 주택의 종류/연건평/거주인수별 주택-시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