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Grain size analysi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02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67 sites along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transects corresponding to the high-, mid-, and low-intertidal zone of beach on the Sinjado, Nakdong River estuary in Nov. 2005 and May 2006. Sinja-do beach sediments showed uni-modal grain size distributions, in which the mode of $3.0{\phi}$ was dominant in 2005 whereas the mode of $2.5{\phi}$ in 2006. This coarsening trend was more remarkable in the western side of beach as well as in the mid- and low-intertidal zon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sediment size changes on the basis of transect data that differ in tidal elevation. For this purpose, a statistical test was applied for transect by transect comparison of grain size parameters such as mean, sorting, and skewness. Mean values between middle and lower transect, sorting values between upper and lower transect, and skewness values over the beach refl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emporal changes. Also, mean and skewness parameters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which was more stronger in 2006 than in 2005. Temporal changes in Sinja-do beach sediments resulted in decrease of mean and sorting values but increase of skewness values, intensifying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ean and skewness parameters.
낙동강 하구 신자도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에 남쪽 해빈의 상부, 중부 및 하부 조간대에 해당하는 3개의 횡단선(upper, middle 및 lower transect)을 따라 67개 정점에서 총 402개의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자도 해빈 퇴적물은 단일 모드의 입도로 구성되었고, 2005년에는 $3.0{\phi}$의 최빈값이 우세하였으며, 2006년에는 $2.5{\phi}$의 최빈값이 우세하였다. 이러한 퇴적물의 조립화는 신자도 해빈의 서쪽 지역과 중부 및 하부 정점들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위에 의해 구분된 횡단선 자료에 근거하여 퇴적물 입도의 시간적인 변화 특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횡단선간에 평균입도, 분급도 및 왜도와 같은 퇴적물 조직 변수를 비교할 수 있는 통계적 검정법을 이용하였다. 평균입도는 해빈 중부와 하부 정점들에서, 분급도는 해빈 상부와 하부 정점들에서, 왜도는 해빈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간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평균입도와 왜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는 2005년에 비하여 2006년에 더욱 뚜렷하였다. 2005년 11월에서 2006년 5월까지 신자도 해빈 퇴적물의 시간적인 변화는 평균입도와 분급도는 감소하였고, 왜도는 증가하였으며, 평균입도와 왜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가 강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