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mporal Change of Grain Size of the Beach Sediments in the Sinjado,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 신자도 해빈 퇴적물 입도의 시간적인 변화

  • Kim, B.O. (Kunsan National University, Saemangeum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
  • Lee, S.R.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him, B.K.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백운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
  • 이상룡 (부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과학과) ;
  • 김부근 (부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과학과)
  • Received : 2011.06.24
  • Accepted : 2011.08.11
  • Published : 2011.08.29

Abstract

Grain size analysi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02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67 sites along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transects corresponding to the high-, mid-, and low-intertidal zone of beach on the Sinjado, Nakdong River estuary in Nov. 2005 and May 2006. Sinja-do beach sediments showed uni-modal grain size distributions, in which the mode of $3.0{\phi}$ was dominant in 2005 whereas the mode of $2.5{\phi}$ in 2006. This coarsening trend was more remarkable in the western side of beach as well as in the mid- and low-intertidal zon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sediment size changes on the basis of transect data that differ in tidal elevation. For this purpose, a statistical test was applied for transect by transect comparison of grain size parameters such as mean, sorting, and skewness. Mean values between middle and lower transect, sorting values between upper and lower transect, and skewness values over the beach refl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emporal changes. Also, mean and skewness parameters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which was more stronger in 2006 than in 2005. Temporal changes in Sinja-do beach sediments resulted in decrease of mean and sorting values but increase of skewness values, intensifying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ean and skewness parameters.

낙동강 하구 신자도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에 남쪽 해빈의 상부, 중부 및 하부 조간대에 해당하는 3개의 횡단선(upper, middle 및 lower transect)을 따라 67개 정점에서 총 402개의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자도 해빈 퇴적물은 단일 모드의 입도로 구성되었고, 2005년에는 $3.0{\phi}$의 최빈값이 우세하였으며, 2006년에는 $2.5{\phi}$의 최빈값이 우세하였다. 이러한 퇴적물의 조립화는 신자도 해빈의 서쪽 지역과 중부 및 하부 정점들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위에 의해 구분된 횡단선 자료에 근거하여 퇴적물 입도의 시간적인 변화 특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횡단선간에 평균입도, 분급도 및 왜도와 같은 퇴적물 조직 변수를 비교할 수 있는 통계적 검정법을 이용하였다. 평균입도는 해빈 중부와 하부 정점들에서, 분급도는 해빈 상부와 하부 정점들에서, 왜도는 해빈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간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평균입도와 왜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는 2005년에 비하여 2006년에 더욱 뚜렷하였다. 2005년 11월에서 2006년 5월까지 신자도 해빈 퇴적물의 시간적인 변화는 평균입도와 분급도는 감소하였고, 왜도는 증가하였으며, 평균입도와 왜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가 강화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재 (1973).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연구. 지리학, 8, 8-23.
  2. 김기철, 양한섭, 김차겸, 문창호, 장성태 (1999). 수문개폐에 따른 낙동강 하구언 하류부의 해양물리환경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2, 49-59.
  3.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 361-374.
  4. 김백운, 이창경 (2009).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I): 해안선변화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 380-390.
  5. 김부근, 김백운, 이상룡 (2009).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해빈의 춘추계 표층퇴적물 조직변수의 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 444-452.
  6. 김상호, 신승호, 양상용, 이중우 (2003). 낙동강 하구 사주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6, 26-36.
  7. 김석윤, 하정수 (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4, 268-278.
  8.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 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 416-427.
  9. 김성환, 류호상, 신영호 (2007).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 43-53.
  10. 김원형, 이형호 (1980). 낙동강 하구지역의 퇴적물운반 및 퇴적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지, 16, 180-188.
  11. 반용부 (1986).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 부산여대논문집, 21, 463-518.
  12. 부산지방환경청 (1992). 낙동강 하구언 축조 전후 주요환경 변화 조사. 부산지방환경청, 308pp.
  13. 오건환 (1999).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 변화. 한국 제4기학회지, 13, 67-78.
  14.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20, 54-60.
  15. 윤은찬, 이종섭 (2008). 낙동강 하구역의 계절적인 퇴적환경 변화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0, 372-389.
  16. 윤한삼, 유창일, 강윤구, 류청로 (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1, 22-34.
  17. 이상화, 김진후 (2002). 낙동강 하구 사주(모래톱)의 지형조사와 해저토 이동방향에 관한 연구(II). 대한토목학회지, 22, 365-370.
  18. 이인철, 유창일, 윤한삼 (2007). 낙동강 부정형적 사주발달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비교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 13-20.
  19. 이종섭, 윤은찬 (2003). 낙동강 하천플륨의 3차원 혼합거동해석. 대한토목학회지, 23, 347-358.
  20. 장성태, 김기철 (2006).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바다, 11, 11-20.
  21. Bascom, W.N. (1951). The relationship between sand size and beach-face slope. Trans. Amer. Geophys. Union, 32, 866-874. https://doi.org/10.1029/TR032i006p00866
  22. Blott, S.J. and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 Proc. Landforms, 26, 1237-1248. https://doi.org/10.1002/esp.261
  23. Dubois, R.N. (1989). Seasonal variation of mid-foreshore sediments at a Delaware beach. Sediment. Geol., 61, 37-47. https://doi.org/10.1016/0037-0738(89)90040-7
  24. Dubois, R.N. (1989). Seasonal variation of mid-foreshore sediments at a Delaware beach. Sediment. Geol., 61, 37-47. https://doi.org/10.1016/0037-0738(89)90040-7
  25.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 Sediment. Petrol., 27, 3-26.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26. Galehouse, J.S. (1971). Sedimentation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69-94.
  27. Ingram, R.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49-67.
  28. Livingstone, I. (1989). Temporal trends in grain-size measures on a linear sand dune. Sedimentology, 36, 1017-1022. https://doi.org/10.1111/j.1365-3091.1989.tb01539.x
  29. Masselink, G. (1992). Longshore variation of grain size distribution along the coast of the Rhone delta, southern France: A test of the 'McLaren Model'. Jour. Coastal Res., 8, 286-291.
  30. Oertel, G.F. (1985). The barrier island system. Mar. Geol., 63, 1-18. https://doi.org/10.1016/0025-3227(85)90077-5
  31. Poizot, E., Mear, Y. and Biscara, L. (2008). Sediment trend analysis through the variation of granulometric parameters: A review of theories and applications. Earth-Sci. Rev., 86, 15-41. https://doi.org/10.1016/j.earscirev.2007.07.004
  32. Stutz, M.L. and Pilkey, O.H. (2002). Global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deltaic barrier island systems. Jour. Coastal Res., 36, 694-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