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농촌주민에서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tress among Residents in a Rural Area

  • 최정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예방의학교실) ;
  • 김윤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의학과) ;
  • 김소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의학과) ;
  • 김성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의학과) ;
  • 박종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예방의학교실) ;
  • 고상백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예방의학교실) ;
  • 김춘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예방의학교실)
  • Choi, Jung-Ky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im, Yun-A (Department of Medical,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im, So-Hee (Department of Medical,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g-Han (Department of Medical,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Park, Jong-K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oh, Sang-Bae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im, Chun-B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11.01.30
  • 심사 : 2011.03.23
  • 발행 : 2011.03.30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among residents in a rural area. Methods: We used the baseline data of the Korean Genomic Rural Cohort (KGRC), a sub-cohort of the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KOGES) that collected data about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genetic risk factors, and chronic illness in Korean adults since November 2005. The cases chosen for the study included 1737 men and women, aged 40 to 70, living in a rural area of Wonju-city, South Korea. A questionnaire interviewing method was addressed in 2006. The final participants consisted of 1349 participants, of which 589 were male (43.7%) and 760 were female (56.3%). We applie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ree stages. The first and second stages include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behaviour factors and the third stage includes more social support factors. Results: The main findings revealed that the amount of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behaviour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tress the subjects reported. The degree of stress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following individuals: females, those who were divorced, the bereaved, participants who suffer from chronic disease, and non-exercisers. Low social support was shown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tress. Conclusion: Social support factors along with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behavior had an influence on stress levels in Korean rural adults. It is necessary to relieve residents from stress through diverse social support programs and healthy living initiativ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2009학년 학생연구과제, 농촌지역사회기반 다기관 코호트사업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질병관리본부,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건강도시 원주. 건강도시사업. 2011 (홈페이지 http://healthycity.wonju.go.kr/02biz/sub01.html)
  2. 고동희 외 6명.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일개 자동차 조립공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대한산업의학회지 2005;17(2):79-84.
  3. 곽영옥, 서경현, 김영숙. 뇌졸중 환자 가족부양자의 스트레스반응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스트레스연구 2008;16(3):261-269.
  4. 김재염, 김동배, 최선희. 노인부부의 스트레스와 갈등, 우울증, 그리고 권력. 한국노년학 1998;18(3):103-122.
  5. 김판희, 김희숙. 일 도시지역 주민의 스트레스 지각, 정신건강 및 사회적 지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0;24(2):197-210.
  6. 김혜숙. 신장이식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09;21(3):293-302.
  7. 박경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3):91-108.
  8. 서문자 외 5명. 일 농촌 지역 거주 관절염 환자의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 류마티스건강학회지 2002;9(1):68-81.
  9. 성낙훈, 백진우.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지지, 자아 존중감 그리고 스트레스의 관계 - 서울소재 노인복지관 참여노인을 대상으로-.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15(1):465-474.
  10. 양순미, 오윤자. 농촌 노인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노인복지연구 2005;30(겨울호):123-140.
  11. 오경재, 이정미, 길상선, 권근상. 일부 지역 주민들의 스트레스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003;36(2);125-130.
  12. 오수성, 이광섭, 손석준, 최진수, 이정애. 일반건강 측정표를 이용한 일부지역 주민의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5;28(1):123-139.
  13. 엄태환. 빈곤층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08;28(1):36-66.
  14. 이무식, 김대경, 김은영, 나백주, 성태호. 일부 농촌주민의 사회적 지지, 사회조직망과 건강행태와의 관련요인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2;19(2):73-98.
  15. 이수애, 이경미.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02;22(1):209-226.
  16. 이영자, 김태현.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한국노년학 1999;l19(3):79-93.
  17. 이은현, 전기홍, 송미숙, 이순영, 김지윤. 고등학생 흡연과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2003;36(2):131-136.
  18. 이윤경, 조영태, 조병희. 일부 남자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환경적 특성과 흡연과의 관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5;22(2):111-124.
  19. 이정남. 현대인의 건강과 스트레스. 정책과 지역발전 1999;1(3):721-738.
  20. 임화영 외 8명. 지역사회에서 형성된 사회적 지지와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간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06;18(4):327-338.
  21. 장세진. 대한예방의학회. 스트레스. 건강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서울: 계축문화사. 2000.
  22. 장세진 외 16명. 우리나라 직장인 스트레스의 역학적 특성. 예방의학회지 2005;38(1):25-37.
  23. 전영희, 이기효, 김원중. 암환자의 불안, 스트레스, 재발 우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과복지 2010;12:115-137.
  24. 정민예 외 6명. 일 지역 농업인의 근력강화운동이 정신사회 및 신체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2008;20(4):343-350.
  25. 정선영.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공동의존 및 건강상태. 정신간호학회지 2005;14(4):400-416.
  26. 조순영. 간호사관생도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군진간호연구 2004;22(1):232-254.
  27. 최형임, 채현탁, 송인욱.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2009;43(1):183-202.
  28. 채영란, 김은경, 추진아. 남성 관상동맥질환자의 금연변화단계에 따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10;10(1):22-30.
  29. 하주영.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및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10;17(2):259-266.
  30. Berkman LF, Syme SL. Social networks, host resistance, and mortality: a nine-year follow-up study of Alameda County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79;109(2):186-204.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2674
  31. House JS.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Welsey Publishing Co., Massachusetts, 1981.
  32.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33. Mann JR, Mannan J, Quiñones LA, Palmer AA, Torres M. Religion, spirituality,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in pregnant and postpartum Hispanic wome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10;39(6):645-657. https://doi.org/10.1111/j.1552-6909.2010.01188.x
  34. Mattews KA, Cottington EM, Talbott E, Kuller LH, Siegel JM. Stressful work conditions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mong blue color factory worker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87;126:250-229.
  35. Rands M. Changes in social networks following marital segregation and divorce.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 1988.
  36. Sayegh P, Knight BG. The effects of familism and cultural justification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family caregiver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11;66(1):3-14.
  37. Schmaker SA, Brownell A. Toward a theory of social support; closing conceptual gaps. Journal of Social Issues 1984;40:11-36. https://doi.org/10.1111/j.1540-4560.1984.tb01105.x
  38. Strogatz DS, James SA. Social support and hypertension among blacks and whites in a rural, southern communit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86;124(6):949-956.
  39. Thoits PA. Stress and health: major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10;51 Suppl:S41-53. https://doi.org/10.1177/0022146510383499
  40. Weik U, Maroof P, Zöller C, Deinzer R. Pre-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suppresses cortisol response to psychosocial stress in women but not in men. Hormones and Behavior 2010;58(5):891-897. https://doi.org/10.1016/j.yhbeh.2010.08.018
  41. Zhou ES 외 8명. Perceived stress mediate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en treated for localized prostate cancer.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0;69(6): 587-590. https://doi.org/10.1016/j.jpsychores.2010.04.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