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aehwa River Red Tide Solution through Stream Flow

유수소통을 통한 태화강 적조해결 방안 연구

  • 조홍제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윤성규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7.12
  • Accepted : 2011.08.29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Recently, Water quiality of urban river largely have gotten better by virtue of sewer pipe laying and sewage treatment plants construction. or the various contaminants which is flowed in into river have generated underwater ecosystem disturbance and red tide by lack of sewage and waste water disposal facilities. With tidal river, taehwa river of ulsan metropolitan city has large river width and gradual stream bed gradient at the dry and storage period. Moreover, the flow is paralyzed due to the bridge pier protection work, consist of the mat foundation which is about 1.2km from two bridge and the contaminant is accumulated. it is caused by of the red tide generated from the several years or it activates. In this study, When flow area is largest by changing independent footing of bridge pier of two bridges and using RMA2 model, we hydraulically analyzed a variable breadth of velocity and discharge. Consequently, flow rate increased the maximum 103%, discharge was exposed to increase the maximum 61%. Directly this cannot extinguish the red tide but suppresses the red tide occurrence or can reduce. And it is determined to prevent the depositioning of the contaminant and can control fundamentally the red tide occurrence cause.

최근 하수관거 매설과 하수종말처리장 등의 건설로 인해 도시하천의 수질이 크게 개선되고 있으나, 하 폐수 처리시설의 부족으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다양한 오염물질은 수중생태계 교란과 적조를 발생시키고 있다. 울산 태화강의 하류부는 하폭이 크고 하상경사가 매우 완만한 감조하천으로써 갈 저수기에는 유속이 매우 느리게 된다. 게다가 약 1.2km 떨어져 있는 2개 교량의 전면기초로 된 교각보호공으로 인해 흐름이 정체되고 오염물질이 퇴적되어, 수년전부터 발생하고 있는 태화강 적조의 원인이 되거나 적조를 활성화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MA2모형을 이용하여 두 교량의 교각을 독립기초로 개선하고 흐름을 소통시킬 수 있는 통수단면을 확보했을 때, 수리학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유속과 유량의 변화폭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유속은 최대 약 103%, 유량은 최대 6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조를 직접 소멸시킬 수는 없으나 적조발생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오염물질의 퇴적을 막아 적조발생 원인을 근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2007) 태화강하천정비기본계획(변경).
  2. 국토해양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2009) 태화강(지방하천)하천정비기본계획.
  3. 이영식, 이재성, 정래홍, 김성수, 고우진, 김귀영, 박종수. (2001).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 증식의 제한영양염, 한국해양학회지, 6(3), pp. 201-210
  4. 이영식, 문성용. (2006). 가막만 소호해역에서 태풍 전후 수질 변동특성, 한국해양학회지, 11(3), pp. 117-123
  5. 이창수. (2009). 형산강 하류 적조발생시 수질 및 수문학적 특성 검토, 한국환경과학회지, 18(10), pp. 1155-1162
  6. 조홍제, 윤영배, 강호선, 윤성규. (2011). 태화강 하류의 적조발생특성, 대한상하수도학회지 25(4), pp. 453-462
  7. Environmental Modeling Research Laboratory (2000) SMS(Surface-water Modeling System) RMA-2 version 4.3 User's manual. Brigham You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