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 Received : 2011.06.13
  • Accepted : 2011.08.1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researches on mathematics education are being conducted currently in Korea and overseas a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researches on mathematics education from a broader view. Although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understand trends in researches on mathematics education, there have been few in depth studies on research trends in overseas or for comparison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trends. Thus,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181 domestic articles between 2005 and 2009 in the journals and and 201 overseas articles in the journals and according to year, research area, research contents, school level, research method, and key words using the PME classification system with some modification. Through these analysis,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and oversea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learning process' was a spotlight area both at home and overseas, and 'realistic mathematics' and 'social cultural subjects' were not covered much either at home or overseas. 'Mathematical communication' occupied a very small portion in Korea but was a highly interesting area in overseas research. Second, research contents of interest wer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overseas. Research on general area was the mainstream. But geometry and statistics were mainly studied in Korea and algebra and analysis in overseas. Third, research related to middle school was twice more than that related to high school in Korea, But, research related to middle school was the same as high school in overseas. Fourth,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absolute majority both at home and overseas, and philosophical didactical analysis was used only in Korea. Fifth, the order of key words were problem solving - teacher - curriculum - creativity - textbook in Korea, but teacher - teaching - semiotic - affective factor - proo f- problem solving - technology in overseas.

Keywords

References

  1. 권오남 (2003). 대학 수학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229-245.
  2. 권정은․최재호 (2008).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49-163.
  3. 길양숙 (2003). 수학교육 연구에 대한 한 교육학도의 감상, 수학교육학연구 발표대회논문집, 1043-1056.
  4. 김수연․김영록․장재덕 (2009). 한국수학교육학회 논문집에 게재된 논문들의 분류와 분석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게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3), 683-705.
  5. 김원경․문소영․변지영 (2006).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4), 381-406.
  6. 김응태․박한식․우정호 (1986). 수학교육학 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7. 박경미 (2003). 중등 수학교육 연구의 경향 분석 -<수학교육>과 에 수록된 논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219-228.
  8. 박수영․이재연 (2005). 국내 놀이치료 연구 동향 : 놀이 치료 관련 학회지 게재 논문 중심으로 (1997-2003),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47-57.
  9. 박한식 (1993). 한국수학교육학회가 걸어온 길 30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2(3), 1-6.
  10. 박혜숙 (2003). 기하교육 연구에 대한 수학교육학적 고찰 -최근 10년간 <수학교육>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 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193-202.
  11. 백형윤․황우형 (2005). 학교현장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수학교육저널의 기술공학분야 비교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229-264.
  12. 우정호 (1999). 대한수학교육학회 연구의 초석을 다지며, 대한수학교육학회 홈페이지: http://ksesm.jams.or.kr/
  13. 이영하․심효정 (2003). 확률․통계 연구에 대한 수학교육학적 고찰 -<수학교육>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203-218.
  14. 이강섭 (2003). <수학교육>에 게재된 논문의 분류와 분석 -통권 1호부터 통권 99호까지, 한국수학교육학회 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227-237.
  15. 이중권 (2003). 수학교육에서 질적(Qualitative) 연구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111-119.
  16. 임재훈 (1997). 심리학 중심의 수학교육 연구와 수학 중심의 수학교육 연구 - 수학교육에서 '어떻게', '무엇을', '왜'라는 세 가지 질문,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1), 279-293.
  17. 최영한 (2002). 수학교육학 연구 논문의 제목 분류,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18(2), 33-35.
  18. 최영한 (2010). MSC 2010과 수학 교육 논문의 새로운 분류, 대한수학회: http://www.kms.or.kr/home/kor/.
  1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9). 최근 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RRO 2009-7.
  20. 한상완․박홍석 (1999). 국내 학술지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2), 89-118.
  21. 홍미라․차인숙 (2005). 수학 교과서 비교 연구 논문에 관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201-213.
  22. Lubienski, S. T. & Bowen, A.(2000). Who's Counting? A Survey of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1982-1998.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5), 626-633. https://doi.org/10.2307/749890
  23.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1)-48(4).
  24.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학연구> 15(1) -19(4).
  25.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8(1) - 72(3).
  26.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6(1)- 40(4).

Cited by

  1.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and Mixed Methods - Focusing on Domestic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for the Last 10 years vol.28, pp.3, 2014,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3.303
  2.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게재된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vol.58, pp.1, 2011, https://doi.org/10.7468/mathedu.2019.58.1.121
  3.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An Analysis of Journals Published from 1963 to 2019 vol.29, pp.4, 2011, https://doi.org/10.29275/jerm.2019.11.29.4.709
  4.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vol.59, pp.1, 2011, https://doi.org/10.7468/mathedu.2020.59.1.63
  5.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vol.30, pp.4, 2011, https://doi.org/10.29275/jerm.2020.11.30.4.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