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부 대학생의 건강 실천행위 및 구강건강행위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Practice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Obesity in University Students

  • 박희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학연구소) ;
  • 이문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 김석환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 정미애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투고 : 2011.06.22
  • 심사 : 2011.08.24
  • 발행 : 2011.09.28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비만과 건강실천행위 및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비만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해 전국대학건강조사 및 대학생 건강증진 서비스 개발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12월 1일부터 31일 동안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는 대학에 재학 중인 177명의 자료를 조사하였고, 조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조사대상자 전체의 비만 유병률은 27.7%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만의 차이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24세 미만군에 비해 24세 이상군의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다. 2. 건강실천행위 및 구강건강행위에 따른 비만의 차이는 식사 시 짠맛을 선호하는 경우와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 그리고 최근 1년간 치과 방문을 했던 경우에 비해 치과방문을 하지 않는 경우가 비만율이 높았다. 3. 성별과 연령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을 때 대학생들의 비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짜게 먹는 경우,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경우 그리고 최근 1년간 치과방문이 없는 경우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비만은 식사 시 선호맛, 하루 평균수면시간 및 치과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 눈높이에 맞추는 정규적인 보건교육실시 뿐만 아니라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에 식생활 습관과 정신건강 및 구강건강습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면 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besity(BMI), health practices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healthy campus communities. Total 177 students filled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alth practice and oral behaviors on obesity. This study shows that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27.7%. Univar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gender, age, the preference of salt, sleep in every day, self-perceived general health, the visiting the dentist during the past yea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BMI. In multivariable regression, preference of salt, sleep in every day, the visiting the dentist during the past year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BMI, after adjustment of gender and 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besity prevention program in overall, eating habit,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 in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8)조사, 2009.
  2. D. Cutler, E. Glaeser, and J. Shapiro, "Why Have Americans Become More Obese?," J. of Economic Perspectives, No.17, pp.93-118, 2003.
  3. S. Chou, M. Grossman, and H. Saffer, "An Economic Analysis of Adults Obesity:Results from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J. of Health Economics, No.23, pp.565-587, 2004.
  4. 정형선, OECD 국가의 의료제도, 보건복지부, 2004.
  5. World Health Organization. Reducing Risks - 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Report 2002, Geneva, WHO 2002.
  6. R. Bonow, L. Smaha, S. Smith, G. Mensah, and C. Lenfant, World Heart Day 2002: the international burden of cardiovasular disease: responding to the emerging global epidemic. Circulation, pp.1062-1605, 2002.
  7. S. Olshansky, D. Passaro, and R. Hershaw, "A potential decline in life expectancy in the United States in the 21st century," N Engl J Med No.17, pp.1138-1145, 2005.
  8. WHO Western Pacific Region. The Asian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2000.
  9. P. Ylostalo, L. Suominen-Taipale, A. Reunanen, and M. Knuuttila, "Associ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periodontal disease," J. Clin Periodontol Vol.35, No.4, pp.297-304, 2008. https://doi.org/10.1111/j.1600-051X.2008.01203.x
  10. A. Sheiham, J. Steele, W. Marcenes, S. Finch and A. W. G. Walls,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Body Mass Index among older people: a national survey of older people in Great Britain," J. of British Dental, Vol.192, pp.703-706, 2002. https://doi.org/10.1038/sj.bdj.4801461
  11. 박정건,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2. 양귀혜, "서울일부지역 성인들의 구강건강과 그 영향 요인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이영호, 박지송, 김종훈, 이병문,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관리를 위한 개인 맞춤형 식단 추천서비스",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8권, 제5호, pp.189-197. 2010.
  14. G. Rosa, G. Lucas, and O. Lucas, "Cigarette smoking and alveolar bone in young adults: a study using digitzed radiographs," J. of Periodontol, Vol.79, No.2, pp.232-244, 2008. https://doi.org/10.1902/jop.2008.060522
  15. A. Sheiham and R. Watt, "The common risk factor approach: a rational basis for promoting oral healt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9, No.6, pp.399-406, 2000.
  16. 김희경, "Pender 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영향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32-141, 2006.
  17. 홍원주, 조혜경, 이윤신, "경기 지역 여대생들의 BMI에 따른 경구 당부하 검사, 식습관 및 영양섭 취 상태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제19권, 제6호, pp.869-888, 2009.
  18. 배현숙, "여대생의 BMI에 따른 식이섭취와 혈중 지질 농도 및 항산화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1권, 제4호, pp.479-487, 2006.
  19. WHO expert consultation.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gies, Lancet, 2004.
  20. 김은엽, 임근옥,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치통발생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2호, pp.181-187, 2009.
  21. 한지형, 황지민, " 청소년의 BMI와 건강 및 구강 건강증진행위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41-156, 2010.
  22. 보건복지부,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 본부, 서울: 보건복지부, 2006.
  23. 보건복지부, 2006년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 서울: 서울복지부, 2007.
  24. J. Gruber and M. Frakes., "Does falling Smoking Read to Rising Obesity," J. of Health Economics No.30, pp.1-15, 2005.
  25. 박천만, 김영복, 오카다세츠코, 한창현, 대학보건실 운영현황 및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계명대학교, 2007.
  26. 김미정, "대학생들의 BMI지수에 따른 외식 식행동-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제26권, 제4호, pp.450-457, 2010.
  27. J. Ford, M. spallek, and A. Dobson, "Self-rated health and a healthy lifestyle ar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survival in elderly women," Age and Ageing, Vol.37, No.2, pp.194-200, 2008. https://doi.org/10.1093/ageing/afm171
  28. 김종성, 조비룡, "건강검진 수검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 관련 행위의 연관성", 가정의학회지, 제31권, pp.688-696, 2010.
  29. J. Lee and B. Lin, "Dietary habits, demographics, and the develop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Food Policy, Vol.30, pp.115-128, 2005. https://doi.org/10.1016/j.foodpol.2004.02.004
  30. J. Seidell, "Dietary fat and obesity: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American," J. of Clinical Nutrition, Vol67, 546S-550S.
  31. 이상엽, 김윤진, "중년 직장 남성의 피로 관련 인자", 가정의학회지, 제21권, 제10호, pp.1277-1287, 2000.
  32. 노은경, 박종, 최천호, "고등학생의 정신건강인식과 주관적인 수면 질과의 관련성", 한국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제27권, 제3호, pp.67-74, 2010.
  33. 조은정, "산욕후기 모서의 산후우울 정도에 따른 주관적 수면의 질, 건강증진행위, 가족기능,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09-110, 2009.
  34. 김록범, 박기수, 이진향, 김봉조, 전진호, "우울증상에 관련된 요인과 우울증상이 지각된 건강수준, 외래의료이용,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1-92, 2011.
  35. 보건복지부, 2010년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 2010; 355, 405.
  36. 이선미, 김송전, "초등학생들의 체중신장지수 (WLI)와 치아우식증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3권, 제1호, pp.25-43, 2003.

피인용 문헌

  1. Relationship between BMI, oral health behavior and perceived oral symptoms among child care teachers vol.13, pp.5,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5.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