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7:135-43, 443.
-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제4판. 서울:도서출판 고려의학. 2008:325-56.
- 위효선 등. 시상하부-뇌하수체 기능 부전으로 진단받은 속발성 무월경 환자 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3):246-56.
- 황정혜. 무월경의 진단과 치료. 대한산부인과학회 연수강좌. 2004:102-12.
- 송호림. 무월경 환자 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173-81.
- 김윤상 등. 신경인성 식욕부진으로 인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18-27.
- 임성민 등. 희발월경에서 무월경으로 이행된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222-8.
- 김인중 등. 비만과 동반된 무월경 환자 치료 1례.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005;11(1):47-51.
- 송미선, 임은미. 비만치료 후 발생한 무월경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 방제학회지. 2006;4(1):192-200.
- 김지양 등. 호르몬검사를 이용하여 관찰한 속발성 무월경 및 과소월경의 치험 4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3):267-76.
- 김장흡. 뇌하수체 기능이상에 의한 무월경. 대한내분비학회지. 2002;17(6):763-72.
- 이정호. 무월경의 진단적 접근.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10;53(7):579-93.
-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행림출판사. 1994:1182.
- 허준.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2005:641.
- 張機. 금궤요략방론.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82:55.
- 金哲源. 溫經湯의 效能에 對한 實驗的 硏究. 대한한의학회지. 1994;15(2):269-80.
- 장개빈. 경악전서. 경북:시풍출판사. 1972:634.
- 김연도 등. 온경탕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6;2(1):146-76.
- 김철원. 부인과에서 활용되고 있는 온경탕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1):251-65.
- 嚴用和. 嚴氏濟生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0:117.
- 韓醫科大學 方劑學敎授 共編著. 方劑學 改正增補版. 서울:永林社. 2003:290-2.
- 김정훈 등. EBM 기반구축을 위한 귀비탕 연구 문헌 분석.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009;20(3):205-16.
- 정진홍, 최보인. 갱년기질환에 활용 되고 있는 가미귀비탕의 항STRESS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201-2.
- 林東旭, 鄭鎭鴻, 柳同烈. 부인과 질환에 활용된 歸脾湯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2):165-77.
- 임윤경, 김준표, 김태한. 大學經穴學各論. 대전:오비기획. 2005:173, 181, 257, 823, 863.
- 桑海莉. 活血化瘀치료인공유산수술 후 폐경25례. 사천중의잡지. 1996;14(4):44.
- 대한일차의료학회 비만연구회. 비만학이론과 실제. 서울:도서출판한국의학. 1996:123, 153.
Cited by
-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이 경행후기(經行後期)인 여대생들의 기울과 소화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ol.26, pp.2,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3.26.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