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대생들의 비만지표와 신체활동량 차이에 따른 월경양상 및 월경통과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hange of Menstrual Patterns and Dysmenorrhea According to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Activ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임은미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차지혜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김윤상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Lim, Eun-Mee (Dept. Oriental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 ;
  • Cha, Ji-Hea (Dept. Oriental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 ;
  • Kim, Yoon-Sang (Dept. Oriental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
  • 투고 : 2011.07.29
  • 심사 : 2011.08.08
  • 발행 : 2011.08.31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change of menstrual patterns and dysmenorrhea according to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activ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From March 22nd to May 14th, 2010 we researched 1,407 women students at OO College by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ir menstruation, dysmenorrhea, obesity and physical activity. Results: 1. Triglyceride(TG) was decreased statistically in the regular group of menstrual cycle as compared with the irregular group. 2. Menstrual dur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obesity indices. 3. Higher BMI was associated with more menstrual amount. 4. Dysmenorrhea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BMI. 5. Neither menstrual patterns nor dysmenorrhea were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but dysmenorrhea was decreased in minimally activ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of menstruation and dysmenorrhea on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activity. Obesity is related to menstruation and dysmenorrhea, but physical activity isn't related to them.

키워드

참고문헌

  1. 류한우, 임은미, 김윤상. 일개 대학 신입생의 월경과 비만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1):99-108.
  2. 김동일, 오창영, 최민선. 校注婦人良方譯解. 서울:도서출판 정담. 2011:19.
  3. 오승희 등. 20-30대 여성 461례의 월경에 관한 실태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63-74.
  4. 윤석희 등. 譯解 東醫寶鑑. 하동:동의보감출판사. 2006:297.
  5. 김유석, 박미정. 한국 소아청소년의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의 변화추이;1998, 2001, 2005년 한국국 민건강영양조사 분석.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2007;12(2):142-9.
  6. 차지혜, 김윤상, 임은미. 일개 대학 신입생의 월경양상과 월경통 관련 인자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4(4):117-29.
  7. 양나래 등. 여고생의 소화기능 및 BMI에 따른 월경통 차이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10-22.
  8. 장희재 등. 스트레스와 비만에 따른 월경주기 변화의 다자간 연관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02-9.
  9. 정재혁 등. 무월경 환자의 DITI와 HRV, 체성분 분석을 통한 특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94-101.
  10. 정재혁 등. 일부 월경통 환자의 체성분 분석 결과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55-63.
  11. 최가야 등. BIA법을 통한 비만유형과 월경양상의 관련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22-8.
  12. 김문정 등. 서울지역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양상과의 관계. 이화간호학회지. 2007;41:99-118.
  13. 이가현 등. 일개 대학 여대생에서 일차성 월경곤란증과의 관련된 생활습관, 스트레스, 월경력 및 식습관.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10;35(1):29-39.
  14. 정병천, 김동철, 백승희. 고3 수험생의 월경실태분석을 통한 Stress와 월경의 상관관계 조사(Stress와 월경의 상관관계). 대한한의학회지. 2000;21(4):93-103.
  15. 김현정, 김윤상, 임은미. 저소득층 여성의 스트레스와 월경의 실태분석 및 상관관계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36-49.
  16. 이지영 등. 일부 월경통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 척도와 심박변이도상의 특징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216-30.
  17. 육상숙, 김윤상, 임은미. 탈북여성들의 월경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관련 인자들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4;17(4):174-85.
  18. 양나래 등. 근무형태와 기능성 소화장애 및 월경이상 관련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2)
  19. 김윤상, 문영춘, 임은미. 신경인성 식욕부진으로 인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2;15(1):118-27.
  20. 조진형 등. 월경전증후군과 관련된 요소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174-204.
  21. 이해정. WHO 국제신체활동도 설문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가정의학회지. 2004;25(11 Suppl):396-406.
  22. 강현식, 홍혜련. 성별에 따른 아동의 비만지표, 대사성위험인자, 신체활동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2010;49(6):581-9.
  23.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제4판. 서울:도서출판 고려의학. 2008:133, 591, 593, 605.
  24. 강미희, 조여원. 여중생의 BMI에 따른 신체 이미지, 체형 스트레스, 섭식 태도 및 식사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2010;43(3):285-93.
  25. 성은주, 신택수. 한국 청소년비만이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가정의학회지. 2003;24:1017-25.
  26. Craig CL, et al.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 Sci Sports Exerc. 2003;35(8):1381-95. https://doi.org/10.1249/01.MSS.0000078924.61453.FB
  27. 오지연 등. 한국어판 단문형 국제신체활동설문(IPAQ)의 신뢰도와 타당도. 가정의학회지. 2007;28:532-41.
  28. 김형옥 등. 한국 청소년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8;51(11):1322-9.
  29. 진주표. 新對譯 編註 醫學入門. 서울:법인문화사. 2009:1468, 1470.
  30. 김동일, 김민성. 女科經綸 新解. 서울:보명 BOOKS. 2006:25.
  31.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I.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7:144, 146, 154.
  32. Zeev H. Dysmenorrhea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Etiology and Management. J Pediatr Adolesc Gynecol. 2006;19(6):363-71. https://doi.org/10.1016/j.jpag.2006.09.001
  33. Anupriya A, Annapoorna V. Questionnaire Study on Menstrual Disorders in Adolescent Girls in Singapore. J Pediatr Adolesc Gynecol. 2009;22:365-71. https://doi.org/10.1016/j.jpag.2009.02.005
  34. Juang CM, et al. Natural Progression of Menstrual Pain in Nulliparous Women at Reproductive Age: An Observational Study. J Chin Med Assoc. 2006;69(10):484-8. https://doi.org/10.1016/S1726-4901(09)70313-2
  35. 유정순 등. 국제신체활동설문(IPAQ)을 이용한 신체활동도에 따른 인천지역 대학생의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이섭취 조사. 한국영양학회지. 2008;41(8):818-31.
  36. 오세진, 이만균. 발레무용수, 운동선수 및 일반인의 식이습관과 운동량이 월경특성과 식이장애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06;17(2):25-37.
  37. 도윤경, 김태욱, 박원화. 여성 운동선수의 월경, 섭식, 신체 구성과 골성장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15(6):467-78.
  38. Ohde S, et al. Dysmenorrhea among Japanese Women. J of Gyneaecol Obstet. 2008;100(1):13-7.
  39. Chantler I, Mitchell D, Fuller A. Actigraphy Quantifies Reduced Voluntary Physical Activity in Women with Primary Dysmenorrhea. J of Pain. 2009;10(1):38-46. https://doi.org/10.1016/j.jpain.2008.07.002
  40. 최종인, 오재원. 운동경력이 중.고 여자 운동선수들의 월경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14(3):615-26.

피인용 문헌

  1. 젊은 여성의 냉증과 건강지표들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vol.24, pp.4,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1.24.4.062
  2. 여대생의 건강검진자료와 월경양상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vol.25, pp.1, 2012,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1.056
  3.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월경통 클리닉에 대한 임상 보고 vol.25, pp.2,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2.142
  4. 부인과질환, 월경통과 여성 체형 및 체온의 상관성 연구 vol.25, pp.4, 2012,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4.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