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emical Constituent Variabilities of the Green Tea Leaves by Harvest Periods

채취시기별 녹차 생잎(生葉)의 성분 변화

  • Received : 2011.04.29
  • Accepted : 2011.07.20
  • Published : 2011.07.2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soils in the sampling green tea farms and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green tea leaves at the 3 harvest stages (Ujeon ${\rightarrow}$ Sejag ${\rightarrow}$ Jungjag). The results as follows; The properties of the soils were sandy loam, loam, well drained and fertile-rich in phosphoric acids in general. The contents of chlorophyll, tannin, vitamin-c and total catechin were increased as harvest periods getting late but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free amino acids, theanine, caffeine were decreased on the reverse. The inorganic constituents Mg, Ca and Mn were increased as harvest periods getting late but the Na, K, B contents were decreased on the reverse. The contents of the total nitrogen, chlorophyll, total free amino acid, theanine, caffeine and total catechin and Na, Mg, Ca, B and Se were i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jeon and Sejag.

본 연구는 녹차 생잎 채취지의 토양의 성질과 채취시기별(우전-세작-중작) 녹차 생잎에 대한 화학성분 및 무기물 성분을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지역의 토양의 성질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배수가 양호하고 인산이 풍부한 사양토와 양토로 구성되어 있었다. 녹차 생잎에 대한 성분 분석에 있어서는 섬유질, 탄닌, 비타민 C와 총카테킨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한 반면 총질소, 총아미노산, 데아닌, 카페인 등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기물 함량에 있어서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Mg, Ca, Mn은 증가하였으나 Na, K, B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화학성분 중 총질소, 엽록소, 총유리아미노산, 데아닌, 카페인, 총카테킨과 무기물 중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붕소, 세레늄에 있어서는 우전과 세작 간에 거의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金銅淵, 鄭址爐 金爟, 李.鍾旭, 朴根亨. 1979. 韓國産 茶葉의 特殊成分에 關한 硏究. 한국농화학회지 22(2): 97-100.
  2. 김봉수, 양원모, 최정. 2002. 산지별 시판녹차의 카페인, 유리아미노산, 비타민 C 및 카테킨 함량 비교. 韓國茶學會誌 8(1): 55-62.
  3. 김상희, 한대석, 박종대. 2004. 보성산 녹차의 채엽시기에 따른 화학 성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6(4): 542-546.
  4. 김영걸, 류홍석, 이진호. 2000. 東西方向 植栽 茶園에서 新芽의 生育 및 性分含量 變化에 따른 採取時期의 決定. 韓國茶學會誌 6(3): 111-119.
  5. 김종태. 1996. 차의 과학과 문화. 보림사. 176.
  6. 김주희, 최정, 박용구. 2007. 한국재래종 차나무집단의 형태적 특성 및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韓國茶學會誌 13(3): 123-140.
  7. 고광섭, 오상실, 이진호, 현진욱, 김영걸. 2010. 제주 녹차의 무기성분 분포특성.韓國茶學會誌. 16(1): 85-88.
  8. 문제학, 박근형. 1995. 茶의 機能性 成分과 生理活性. 韓國茶學會誌 1(1): 175-191.
  9. 朴章泫, 金冑喜, 崔炯局, 金台錫, 金正云, 金廣植. 1995. 國內産 茶葉의 生育特性과 化學成分에 관한 硏究. 韓國茶學會誌 1(1): 161-173.
  10. 朴章泫, 崔炯局, 金廣植. 1996. 遮光程度가 茶葉의 아미노酸, 無機成分, 脂肪酸 含量에 미치는 影響. 韓土肥誌 29(3): 288-296.
  11. 朴章泫, 金廣植, 金冑喜, 崔炯局, 金善雨. 1996. 國內産 茶葉의 유리아미노산, 데아닌, 카테친 함량에 관한 硏究. 韓國茶學會誌 2(2): 197-207.
  12. 朴章泫. 茶樹의 葉位別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1997. 韓國茶學會誌 3(1): 47-56.
  13. 朴章泫, 金廣植, 金善雨, 崔炯局, 金相喆. 1997. 한국 자생차의 몇가지 화학성분 비교분석. 藥作誌 5(3): 217-224.
  14. 朴章泫, 金廣植, 崔炯局. 1997. 한국 자생차엽의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지방산 함량에 관한 연구. 韓國茶學會誌 3(2): 73-87.
  15. 박장현, 김광식. 1998. 韓國 自生茶의 생육지 토양과 엽중 무기성분 함량. 韓土肥誌 31(1): 25-32.
  16. 박장현, 김영옥, 남승희, 김정국. 2008. 다기 및 찻잎 수확시기가 녹차의 주요 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차학회지 14(1): 167-174.
  17. 이용호, 최재혁, 신정호, 허재영, 신현열, 김성만. 2009. 차나무 재배지 토성이 차잎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중심- 韓國茶學會誌 15(2): 65-71.
  18. 이주연, 왕려비, 백주현, 박승국. 2007. 녹차엽의 채취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9(3): 246-254.
  19. 殷鍾邦, 李.鍾旭, 金銅淵, 1985. 韓國 野生茶의 成分에 關觀한 硏究. 제1보. 全 窒素, 灰分, 可溶分, 탄닌, 카페인 및 비타민 C에 대하여. 한국농화학회지 28(3): 202-208.
  20. 위지향, 문제학, 박근형. 1999. 국내산 다엽의 채취시기별 카테킨의 함량 및 조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1): 20-23.
  21. 조영수, 김형산, 김성규, 권오창, 정순재, 이용문. 1997.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항균 및 살균 작용.한국차학회지 3(2): 89-103.
  22. 최옥자, 이행재, 최경희. 2005.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2): 148-157. https://doi.org/10.3746/jkfn.2005.34.2.148
  23. 崔正, 千鍾殷, 朴章炫, 申吉浩, 林根喆, 曺圭采. 2001. 近赤外分光分析法을 利用한 茶葉成分 簡易分析. 韓國茶學會誌 7(2): 77-89.
  24. 천종은, 최갑성. 2007. NIRS을 이용한 녹차 카테킨류의 비파괴 신속 정량. 한국차학회지 13(3): 99-112.
  25. 大石千八. 1988. 新茶業全書. 靜岡縣 茶業會議所. 15-16.
  26. 社團法人. 農山漁村 文化協會. 2008. 茶大百科 II. 歷史, 文化, 品質, 機能性, 品種, 製茶. 農文協. 109-110.

Cited by

  1. Rapid selection of theanine-rich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trees and metabolites profiling by Fourier transform near-infrared (FT-IR) spectroscopy vol.9, pp.2, 2015, https://doi.org/10.1007/s11816-015-0344-9
  2. 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prouts of Kalopanax pictus, Cedrela sinensis, Acanthopanax cortex at different plucking times vol.20, pp.3, 2013, https://doi.org/10.11002/kjfp.2013.20.3.356
  3. A Study on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Green Tea, White Tea, Yellow Tea,Oolong Tea and Black Tea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vol.28, pp.5, 2015, https://doi.org/10.9799/ksfan.2015.28.5.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