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Techniques Applied to the Korean Traditional Skirt of Contemporary Style - Focusing on 2001 to 2010 -

현대 한복치마에 사용된 장식기법의 유형과 특성 - 2001~2010년도를 중심으로 -

  • Ok, Myung-Sun (Dept. of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yung Sung University) ;
  • Park, Ok-Ly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Received : 2011.02.25
  • Accepted : 2011.08.01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techniques applied to the Korean traditional skirt of contemporary style.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elected 167 pieces of Korean traditional skirts which were shown in relevant monthly magazine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0. The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types of decorative techniques found in those selected piec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ecoration technique for each area of the pie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used in relation to those techniques. The Korean traditional skirt, otherwise called 'Hanbok chima',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single and composite, in accordance with which technique of decoration was used to it. The single type was characterized by so many embroideries, while the composite type, a combination of two decorative techniques, seonchigi and jatmulim. In the Korean traditional skirt, decorative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knotting and entire of the skirt. Patterns used to decorate the Korean traditional skirt were usually in form of embroidery, gold or silver foil or painting. Out of the patterns, those which were embroidered or painted were shaped flowers, while those which were plated with gold or silver are shaped bosangdangchomun and flowers. There were other decorative techniques than mentioned above, for example, applying two or more different colors to the hem of the skirt, attaching pads to the knotting of the skirt and padding a decorative cloth on the front center of the skirt.

Keywords

References

  1. 구남옥 (2004). "해외 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 연구 1 -한복치마 스타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지 7권 1호.
  2. 구남옥 (2004). "한복치마의 가변성(可變性)을 이용한 디자인 연구." 한복문화학회지 7권 3호.
  3. 금기숙 (1998).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4. 김남정 (2000). "조선시대 치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래 (2009). "20세기 여자 저고리, 치마의 형태 변천과 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순구, 이영애 (2010). "현대의 전통한복에 사용된 장식기법에 관한 연구[제I보] -2001-2005년도 여자한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권 5호.
  7. 윤혜성 (1999).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치마.저고리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수현 (2002). "한복치마 착장미의 역사적 고찰."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수현, 조우현 (2004). "한국 전통치마의 착용 실루엣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권 1호.
  10. 이영희 (2009). 파리로 간 한복쟁이 . 서울: 디자인하우스.
  11. 이현숙 (2006). "현대 한복의 장식성에 관한 연구 -1986-1997년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임경화 (2002). "치마의 장식요소와 표현성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진영 (2008). "조선시대 치마의 특징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현, 신황수정 (2010). "한복을 응용한 패션디자인에 대한 미국 대학생들의 이미지 지각 특성." 복식 60권 9호.
  15. 정혜경 (2010). 현대한복 . 마산: 경남대학교 출판부.
  16. 정혜경, 박영희 (2004). "한복에 사용된 장식문양을 통하여 본 전통․현대화 작업에 대한 분석 -90 년대 중반 이후 여성 한복을 중심으로-." 복식 54권 1호.
  17. 최경순, 김수경 (1999). "1990년대 후반 한국 전통 의상에 사용한 문양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7권 5호.
  18. 하덕순 (1993). "한복에 장식된 문양에 관한 연구 - 80년대-현재까지 치마 저고리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