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Middle Aged Housewives' Clothing Image

중년기 주부들이 추구하는 의복이미지에 관한 질적 연구

  • 오현정 (광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4.24
  • Accepted : 2011.07.05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amined what type of clothing image middle aged housewives strive for, and how to classify the preferred clothing style. Secondly, we examined how their clothing image corresponded to age and observed the meaning of such changes over tim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middle aged housew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at were based on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October 20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sult related to preferred clothing image implicated fashion, esthetic sense, and clothing concerns. Preferred clothing image fell into 'intelligent-colorful' and 'urban-neat' categories. The preferred clothing style types of the participants were labeled as 'trendy', 'classic', 'conservative', and 'unique'. Second, the clothing image that participants thought to be of greater value in middle age included 'graceful' and 'elegant' allowing for the expression of age-appropriate style, high quality, and mind of plenty.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2004). 중년후기 한국 여성의 노년기 전환기 경험. 대한가정학회지, 42(7). 145-164.
  2. 강혜원(1996).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3. 김명자(1998). 중년기의 발달. 서울: 교문사.
  4. 김애순(2004).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
  5. 김영천(2010). 질적연구방법론1. 서울: 문음사.
  6. 김유덕, 김미영(2004). 중 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746-757.
  7. 김인화, 권수애(2007). 중년 여성용 재킷 패턴의 외관과 기능성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1(11), 1621-1633.
  8. 김정실, 이선재(2008). 뉴 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0). 1407-1417.
  9. 네이버 용어사전(2011). 루비족.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에서 2011년 2월 28일 인출.
  10. 노영, 박재옥(2008). 추구의복이미지에 따른 의루제품 디자인 설계 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0). 1522-1534.
  11. 류숙희, 신수래(2008). 중년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이미지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5), 111-121.
  12. 박은주, 이은영(1995). 의복착용상황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5). 713-722.
  13. 손부현, 홍경희(2005). 중년 비만 여성의 기존 재킷 패턴 특성에 따른 착시효과 및 공극량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8), 1114-1124.
  14. 심정희(2006). 중년 여성의 자기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지, 30(11). 1608-1617.
  15. 심정희, 함옥상(2001). 중년 여성의 체형분류 및 연령별 특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4), 795-806.
  16. 오현정, 김선미(2011). 중년기 주부들의 나이인식에 따른 외모변화의 내면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71-91.
  17. 이미숙(2011). 선호의복이미지에 의한 여성 세분시장의 구매 행동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9(1), 93-106.
  18. 이선옥(1999). 아름다운 몸과 일하는 몸의 이분법을 넘어서. 169-200. 여성을 위한 모임 지음. 제3의 성-중년여성 바로보기. 서울: 현암사.
  19. 이유리(2004). 의류 상품화 과정에서 패션 제품과 베이직 제품의 차이 (제1보) -패션과 베이직 제품의 개념. 한국의류학회지, 28(2), 280-291.
  20. 이은영(2003). 복식디자인론. 서울: 교문사.
  21. 이호정(2005). 패션머천다이징. 서울: 교학연구사.
  22. 정인희, 이은영(1992). 의복 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379-391.
  23. 조용환(1999). 질적 기술, 분석,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2(2), 27-63.
  24. 조용환(2002). 질적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5. 한경혜, 노영주(2000). 중년 여성의 40대 전환기 변화 경험과 대응에 대한 질적 연구. 가족과 문화. 12(1), 67-91.
  26. Creswell, J. W.(200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 CA: Sage. 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공역). 서울: 학지사. (1998년 원저발간)
  27. Horn, M. J., & Gurel, L. M.(1988).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Houghton: Mifflin Company. 의복: 제2의 피부. 이화연, 민 동원, 손미영(공역). 서울: 까치. (1981년 원저발간)
  28. Hurlock, E. B.(1976). The psychology of dress. New York; Arno Press Inc.
  29. Levinson, D.(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Alfred A. Knopf, Inc.
  30. Spradley, J. P.(2003). The ethnographic interview. NY; Holt, Rinehart & Winston. 문화기술적 면접법. 박종흡(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979년 원저 발간)
  31. Staudinger, U. M., & Bluck, S.(2001). A view on mid-life development from life-span theory. in Lachman, M. E.(2001).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Cited by

  1. Outdoor Wear Images Preferred by Outdoor Wear Consumer Groups Classified by Consumption Values vol.26, pp.5, 2017, https://doi.org/10.5934/kjhe.2017.26.5.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