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수정, 김은지(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한국사회학, 41(2), 147-174.
- 김진욱(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7(3), 51-72.
- 김진욱(2008).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 연구. 사회복지정책, 35, 197-220.
- 보건복지부(2011). 새로마지플랜 2015-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 성지미(2006).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4), 1-30.
- 세계일보(2010. 12. 21). 30-50대 근로자 10명 중 7명 '맞벌이'.
- 손문금(2005). 맞벌이부부 여성의 이중부담과 시간의 특성: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혜림(1988). 남편의 가사노동 협력에 대한 부인의 기대 및 남편의 협력실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소이, 최윤지(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53-68.
- 윤소영(2002).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혼 및 기혼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209-217.
- 이기영, 김외숙, 서창원, 이승미(1994). 도시근로자가정 부부의 생활시간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1), 31-46.
- 이기영, 송혜림, 이승미, 민순선, 서지원(1996). 도시 남성근로자의 생활시간구조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97-112.
- 이기영, 이승미(1994).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근로자가정부부의 생활시간 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2(3), 11-26.
- 이기영, 이연숙, 김외숙, 조희금(1996). 한일양국간 도시부부의 생활시간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145-162.
- 이승미(1994).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충북가정학회지, 3(1), 23-31.
- 이연숙, 이기영, 김외숙, 조희금, 주인숙, Zick, C. D.(2002). 한미 양국간 가족의 시간사용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139-156.
- 이현아, 이기영(1994).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족생활시간에 관한 부부의 지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1), 145-160.
- 임정빈(1981). 도시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9(2), 73-85.
- 임정빈, 임혜경(1992). 1980년과 1990년 도시주부의 생활시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0(4), 261-278.
- 조영희(2004). 한부모가족의 부, 모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39-151.
- 조희금(1993). 생산직 기혼여성의 생활시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1(3), 1-13.
- 조희금(1997). 사무직 기혼여성부부의 생활시간구조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1), 1-14.
-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 채로, 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 통계청(2009). 2009년 사회조사. 서울: 통계청.
- 통계청(2010), 2009년 생활시간조사. 서울: 통계청.
- 한경미(1991).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71-190.
- 한영선, 윤소영(2009). 미취학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 한지수, 홍공숙(2007). 노부모와 동거하는 기혼여성자녀의 시장노동 참여 및 참여시간 결정요인: 기혼여성자녀와 노부모와의 시간자원 이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6), 61-75.
- 허경옥(1994).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90-105.
- 허경옥(1997). 부인과 남편의 시간배분구조 분석: 가정생산모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1), 319-338.
- Becker, G.(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Economic Journal 75,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 Gershuny, J., Godwin, M., & Jones, S.(1994). The Domestic Labor Revolution : A Process of Lagged Adaptation in M. Anderson et al., The Social and Political Economy of the Household. Oxford University Press. 161-197.
- Gronau, R.(1977). Leisure, Home Production, and Work: The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Revisited.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5(6), 1099-1123. https://doi.org/10.1086/260629
- Mincer, J.(1962).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 Study of Labor Supply. in Aspects of Labor Economics. Princeto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Cited by
- Differences in Time Deficit and Tim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 Care Time of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vol.31, pp.4,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097
-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 수준과 삶의 질: 개인유지시간을 기준으로 한 시간빈곤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비교 vol.55, pp.1, 2011, https://doi.org/10.6115/fer.2017.004
- 대학생의 취업여부별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vol.23, pp.3, 2011,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3.001